국내 홍역환자, 작년의 1.4배…"베트남 등 해외여행시 주의"

해외 유입 사례가 70%…"백신 2회 접종·개인 위생수칙 준수해야"

 올해 국내 홍역 환자가 해외 유입 환자를 중심으로 작년의 1.4배로 늘면서 휴가철을 앞두고 주의가 요구된다.

 1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5일까지 국내 홍역 환자는 총 65명 발생했다.

 올해 환자 중 나라 밖에서 감염된 후 유입된 사례는 46명(70.8%)이었다. 주로 베트남(42명)에서 감염됐고, 우즈베키스탄과 태국, 이탈리아, 몽골에서도 각 1명씩 홍역에 감염된 후 입국했다.

전 세계 연도별, 월별 홍역 발생 현황

 올해 홍역 환자 중 50명(76.9%)이 19세 이상 성인이었고, 36명(55.4%)은 홍역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접종 여부를 몰랐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유럽, 중동,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이 많이 방문하는 동남아시아에도 홍역이 계속 유행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홍역 환자는 35만9천여명이었고, 올해는 5월까지 8만8천355명이 확진됐다.

 이 가운데 올해 서태평양 주요 국가의 홍역 환자 수는 중국 1천220명, 캄보디아 1천97명, 필리핀 1천50명, 몽골 377명, 말레이시아 336명, 라오스 288명, 베트남 151명 등이다.

 인구 100만명당 환자 발생률로 따지면 몽골(257.5명), 캄보디아(147.9명), 라오스(88.9명), 말레이시아(23.5명), 필리핀(21.6명), 베트남(3.6명), 중국(2.0명) 순으로 많았다.

[질병관리청 제공]

 제2급 법정 감염병인 홍역은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이다.

 잠복기는 7∼21일이고, 주된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이 있다.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 안정, 수분·영양 공급 등 대증 요법만으로도 호전되지만, 중이염과 폐렴, 설사· 구토로 인한 탈수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감염될 수 있으나 백신 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질병청은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인 생후 12∼15개월과 4∼6세에 총 2회 홍역 백신(MMR)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12개월 미만 영아는 감염 시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커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부득이한 경우 1차 접종 이전인 생후 6∼11개월 영아도 출국 전 홍역 국가예방접종(가속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백신 접종 외에도 여행 중 사람 많은 곳에서 마스크 착용,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기침할 때 옷 소매로 입과 코 가리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좋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장 내시경, 45∼74세 10년 주기로'…대장암 검진 권고 바뀐다
대장암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 검진 권고 대상에 대장 내시경을 추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 출연기관인 국립암센터가 권고안을 개정하면 무료 국가 암검진 사업에서 대장 내시경을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립암센터는 지난달 20일 의료계·소비자단체 등 각계 전문가를 초청해 공청회를 열고 대변(분변) 잠혈검사와 대장 내시경을 주요 대장암 검진 방법으로 권고하는 내용의 ' 국가 대장암 검진 권고안' 초안을 발표했다. 2015년 마지막으로 개정된 현행 권고안은 45세부터 80세 사이 성인이라면 증상이 없어도 1년 또는 2년마다 분변잠혈검사를 받는 것을 권고한다고 규정한다. 대장 내시경은 개인별 위험도·선호도를 고려해 선택적으로만 시행하게 돼 있다. 합병증 발생 위험 등을 고려하면 위해 대비 이득의 크기가 '작다'는 게 10년 전 내린 결론이었다. 하지만 전문가들로 구성된 개정위원회는 그동안 축적된 과학적 근거와 변화된 의료 환경을 반영해 대장 내시경도 대장암 선별 기본 검사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어느 정도 위험이 뒤따르는 것은 사실이지만 위해보다 이득이 충분히 크다는 점이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초안에 담긴 대장 내시경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