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뒤 2조원대' 반려동물 백신…국내 개발 현황은

 

서울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남성 유모 씨(23)는 최근 새끼 고양이를 입양하자마자 동물병원으로 갔다.

 고양이가 어릴 때 최대한 빨리 '고양이 종합 백신'을 접종받아야 한다는 이유였다.

 유모 씨는 "종합 백신을 맞춰야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 등을 막을 수 있다"며 "백신 종류가 많아 당분간 동물병원을 자주 들락거릴 것 같다"고 말했다.

 동물용 백신은 특정 질병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al preparation)로, 크게 식품용 동물 백신과 반려동물 백신 등으로 분류된다.

 김 책임연구원이 인용한 미국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의 분석에 따르면 전체 동물용 백신 시장에서 식품용 동물 백신 비중이 2022년 기준 81%로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반려동물 백신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기존 13%에서 2027년에는 15%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2022년 9억8천만 달러(약 1조4천억 원) 수준에서 연평균 8.4% 성장해 2027년에는 15억9천만 달러(약 2조2천억 원) 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이란 게 이 기관의 예상이다.

 이 같은 성장세의 주요인은 정부 정책 등도 있지만 반려동물 수의 증가가 가장 결정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027년 반려동물 수가 2017년에 비해 51% 가량 늘어난 1천320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내다봤다.

 이에 맞춰 반려동물용 백신을 개발하는 국내 기업도 눈에 띈다.

 중앙백신연구소는 반려견 인플루엔자 예방 백신, 전염성간염 및 파보바이러스 등 예방 백신, 전염성 호흡기 질환 예방 백신 등 다양한 종류의 백신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SFVS) 방어를 위한 반려동물 SFTSV 백신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비엔피도 반려견 파보바이러스 감염 예방 백신과 디스템퍼,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 예방 백신 등을 개발했다.

 그 외 컬프와 삼양애니팜도 반려동물에 최적화된 지속형 항생제 개발에 나서는 등 여러 기업이 활발한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반려동물, 산업 동물 시장이 점점 커지는 만큼 관련 백신 시장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다만 동물용 백신 시장 진입에 많은 자본이 투입돼 소규모 기업에는 장벽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외국산 동물용 백신에 비해 국내 백신의 인지도가 낮다는 점도 한계로 지목된다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시장에 아직 들어오지 않은 종류의 백신을 개발하거나 엑소좀 등을 활용한 새로운 동물용 백신 플랫폼을 도입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 꼽히는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 교환을 위한 메신저 역할을 하는 물질로, 여기에 백신 등 약물을 탑재한 뒤 특정 타깃을 겨냥해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