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임종 맞고 싶은 사람 늘어…돌봄부담에 국민 75% 병원서 사망

보건사회연구원 콜로키움…"질 높은 임종 돌봄 모형 개발해야"

 '존엄한 죽음'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집에서 생의 마지막을 맞고 싶어 하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가정 내 돌봄 부담으로 국민 대부분은 병원에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는 병원에서의 임종이 불가피하다면 환자와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모두 동의할 수 있는 수준의 임종 돌봄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김대균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교수는 지난 2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우리는 존엄한 죽음을 맞이하고 있는가'를 주제로 열린 '2024년 보건사회연구 콜로키움'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의 돌봄 과정은 대부분 급성기병원과 요양병원에서 이뤄진다. 환자들이 선호하는 사망 장소는 가정이지만 실제 사망 장소는 의료기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안전하고 질 높은 임종기 돌봄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이 필요한 시기"라고 제언했다.

2022년 기준 국민의 74.8%는 의료기관에서 사망했다. 가정에서 죽음을 맞이한 국민은 16.1%에 불과했다.

김 교수는 "현재 가정간호와 가정호스피스 제도는 말기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재택의료 서비스이지만, 가정 내 돌봄 부담으로 전체 말기 환자의 2%만이 가정 호스피스기관을 이용할 정도로 이용률이 저조하다"고 말했다.

또 "가중되는 가족 돌봄 부담으로 가정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병원을 이용하는 '회전문 현상'이 생애 말기에 발생하고 있다"며 "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 시간은 하루 최대 4시간으로 짧고, 가족 간병 목적의 유급휴직 등의 제도가 부재해 가족 간병은 생계 부담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의료기관의 임종 환경이 열악하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환자에게 임종 가능성에 대한 설명이 대개 사망 수일 전에 이뤄지고 있고, 그마저도 의학적인 상태에 대한 설명에 그쳐 심리적 지지나 임종 교육은 부재하다"고 말했다.

또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들은 경제적 형편이나 병실 사정에 따라 어수선하거나 사생활 보호가 어려운 병동 내 처치실에서 생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호스피스 병동이 설치된 의료기관 외에는 임종실 운영 사례가 거의 전무하고, 별도의 임종 돌봄 관련 수가도 없어 적절한 인력 투입도 곤란하다"며 "병원 대부분은 임종 환자가 가족과 함께 마지막 순간을 평온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한 노력에 소홀하다는 평가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김 교수는 "호주는 2017∼2018년 정부 주도로 '국가 완화의료 전략'을 개발하고, '환자 중심 돌봄'에서 '질 좋은 임종 돌봄'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생애 말기 돌봄에 대한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사회적 의사소통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 이용자와 의료 서비스 제공자 모두가 공감하고 동의할 수 있는 수준의 질 높은 생애 말기 돌봄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질 높은 임종 돌봄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살빼는 약' 열풍에 미국 내 요거트 매출 증가
미국에서 위고비, 오젬픽 등이 비만치료제로 인기를 끌면서 미국 내 요거트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식품업체 다논은 최근 미국에서 고단백 저칼로리 요거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위고비, 젭바운드 등 비만치료제 열풍에 일부 기인한다고 밝혔다. 다논의 유르겐 에세르 재무담당 부사장은 "자사는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요거트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데 최근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며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치료를 받고 있거나 혹은 체중이나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소비자 모두에게 인기가 있다"라고 말했다.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식욕 억제를 돕는다. 적은 식사로도 오랜 포만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줘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다논은 비만 치료제 치료를 받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특별한 마케팅을 하지 않았는데도 이런 매출 변화가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국적 식품기업 네슬레도 비만치료제 치료 소비자를 겨냥한 맞춤형 제품을 개발해 내놓고 있다. 네슬레

메디칼산업

더보기
퇴장하는 해열제 좌약…시럽제 인기에 채산성 떨어져
"해열제 잘 듣네…'좌약'이에요. 기절한 사람한테 약을 먹일 수가 있어야지." 박찬욱 감독의 2003년 영화 '올드보이'에서 낙지를 먹다 고열로 갑자기 기절했다 깨어난 오대수(최민식 분)가 '한미약품'이 선명하게 인쇄된 약 포장지를 들고 당황스러워하자, 그를 자기 집으로 데려온 미도(강혜정 분)가 대수롭지 않다는 듯 설명한다. 오대수가 들고 있던 약은 한미약품의 좌제(좌약) 해열제인 써스펜좌약이다. 좌제는 먹는 약인 경구형, 혈관 등에 투여하는 주사제와 달리 직장 등에 투여하는 형태의 약을 말한다. 가현문화재단이 2022년 발행한 '한국 제약산업의 큰바위얼굴 - 임성기와 한미약품'에 따르면, 한미약품 그룹 창업주인 고(故) 임성기 회장은 1973년 회사 창립 직후부터 소프트캡슐, 발포제, 씹어먹는 츄정 등 여러 제형 개발에 적극적이었으며 특히 1976년 국내 최초로 좌제인 써스펜좌약을 개발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고열을 앓는 어린아이에게 해열제를 먹이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쉽지 않은 일이다. 약을 먹자마자 토해버리는 일도 잦아 낭패를 겪기 일쑤다. 국내에 좌제가 전혀 없던 시절, 임성기는 해열제 좌제 개발에 도전했다. 처음엔 수동식 기계로 소량을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