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 김여사 측 "국립묘지 청탁 전달 안돼"…최목사 "그럴 리 없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척되면서 '수수자' 김 여사와 '공여자' 최재영 목사 측의 입장 차이도 선명해지고 있다. 김 여사 측은 청탁했다는 내용 등이 김 여사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실제로 성사되지도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반면 최 목사 측은 측근 행정관들을 통해 김 여사에게 보고됐을 개연성이 있고, 그 자체만으로도 직무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는 입장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0143800004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1011800001

■ '금리인하 기대' 美 S&P지수 5,600선 돌파…나스닥도 사상 최고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처음으로 5,600선을 넘어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6.93포인트(1.02%) 오른 5,633.91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2일 5,500선을 돌파한 지 6거래일 만으로, 거침없는 진격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1005751087

■ 오늘 하반기 첫 금통위 통화정책회의…금리 12연속 동결될 듯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1일 오전 9시 올해 하반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3.5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경제 전문가들과 시장은 금통위가 불안한 환율과 가계대출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전망대로라면 지난해 2월 이후 12차례 연속 동결이다. 우선 기준금리를 서둘러 내리기에는 최근 수 개월간 환율 상황이 썩 좋지 않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0148400002

■ "국민연금 2027년엔 보험료 수입만으로 연금급여 지출 감당못해"

국민연금제도가 현행대로 유지될 경우 3년 후인 2027년에는 보험료 수입만으로는 연금 급여 지출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급격한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생산활동인구 감소로 가입자는 줄어들고, 베이비붐 세대의 계속된 은퇴로 수급자는 급증하면서 수입보다는 지출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11일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연금 중기재정 전망' (2024∼2028) 보고서를 보면,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는 2024년 2천205만4천921명, 2025년 2천185만7천809명, 2026년 2천169만6천271명, 2027년 2천155만2천859명, 2028년 2천141만793명 등으로 지속해서 줄어든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0047100530

■ 엉망진창 스케치를 그림으로…"고맙다 갤럭시 Z폴드6"

'오! 이렇게 대충 그린 그림을 이렇게 예쁘게 바꿔준다고?'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지하에서 열린 삼성전자의 새 폴더블 폰 언팩 행사 뒤 체험관에서 직접 대면한 갤럭시 Z 폴드6는 그림에 소질이 '꽝'인 사람도 '금손'이란 착각이 들게끔 했다. 활짝 편 폴드6 화면 위에 S펜으로 무엇을 그려볼까 고민하다 '자전거'를 선택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1006000081

■ [전국 레이더] "면허 반납하면 현금"…지자체, 고령운전자 잇단 사고에 골몰

서울시청역 주변 역주행 사고 등 최근 고령 운전자들의 사고가 잇따르면서 나이 많은 운전자들의 면허 반납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전국 각 자치단체는 고령 운전자가 면허증을 반납하면 현금이나 교통카드를 제공하는 등 고령 운전자들의 운전을 줄이려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면허증 반납 등으로 운전을 하는 사람이 줄어들면 그만큼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작아질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0125300053

■ 전국 흐리고 곳곳 소나기…낮 최고 32도

목요일인 11일은 중부지방에 가끔 구름이 많고 남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겠다. 오후부터는 내륙을 중심으로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예상 강수량은 제주도 30∼80㎜, 서울·경기 내륙·강원 내륙·산지·대전·세종·충남 내륙·충북·전북 내륙·대구·경북·울산·경남 내륙 5∼60㎜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1006100034

■ 사직 처리 두고 다시 맞붙은 의정…갈등 봉합 요원

정부가 '기계적 대응' 원칙에서 물러나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에 대해서도 면허정지 행정처분을 철회하기로 했으나 전공의 사직 처리 시점을 두고 의료계와 정부가 다시 맞붙고 있다. 의대생들이 돌아오기만 하면 유급되지 않도록 학사 운영 방침도 바꿨지만, 의대생 학부모와 의대 교수 등은 한국의학교육과정평가원(의평원)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로 교육부 장·차관을 고발하기로 해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11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최근 회의를 통해 전공의들이 낸 사직서를 지난 2월 29일 자로 수리하기로 합의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0159200530

■ '1만1천200원 vs 9천870원' 간격 좁히기…최저임금 협상 재개

1만1천200원 대 9천870원. 내년도 최저임금을 놓고 1천330원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사의 줄다리기가 계속된다. 최저임금위원회는 1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0차 전원회의를 열고 2025년도 적용될 최저임금 수준 논의를 이어간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015140053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우울증 환자 금주 결심, 주변 사람 지지와 교류가 큰 영향…최대 1.7배"
우울증 환자가 술을 끊겠다고 결심하는 데에는 주변 사람의 지지와 사회적 교류가 큰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친구와의 만남이나 여가·레저 활동에 참여하는 등 사회적 교류가 활발할 경우 금주·절주 계획을 세울 확률이 최대 1.7배 높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매달 발간되는 '지역사회 건강과 질병'에 이러한 내용이 담긴 '우울 증상과 금주·절주 계획과의 관련성-사회적 지지의 매개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 보고서가 게재됐다. 연구팀은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토대로 19세 이상 성인 남녀 14만3천341명의 우울감 경험 여부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우울증 환자가 절주 또는 금주 계획을 세우는 건 알코올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지만, 대부분은 자기조절 능력과 동기가 떨어져 금주 계획을 세우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 중 최근 1년 내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이나 슬픔을 느낀 비율은 6.9%(9천849명)였다. 금주 또는 절주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우울 증상이 있는 집단에서는 34.9%, 우울 증상이 없는 집단에서는 27%였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대신 제네릭(복제약) 난립…리베이트 부추긴다
제약업계 고질병으로 여겨지는 불법 리베이트가 올해도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업계는 리베이트 근절 필요성에 동감하면서도 정부가 신약 개발 지원책을 마련해 제네릭(복제약) 공급 과잉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계속되는 불법 리베이트…추가 적발 가능성도 올해 제약업계는 반복되는 불법 리베이트 적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검찰은 3개 중견 제약사와 소속 직원들을 이른바 '전공의 리베이트 사건' 관련 혐의로 기소했다. 병의원 380여 곳을 대상으로 한 대웅제약 영업직원들의 리베이트 영업 의혹에 대한 재수사 결정도 내렸다. 고려제약 불법 리베이트 수사도 본격 진행됐다. 이 회사 제품을 처방해주는 대가로 불법 리베이트를 수수한 의사 319명, 제약회사 임직원 21명 등 340명이 검거됐고 기 가운데 의사, 병원 관계자 등 2명이 구속됐다. JW중외제약은 리베이트 비용을 복리후생비 등 명목으로 속여 법인세를 포탈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신영섭 대표이사는 지난달 열린 첫 공판에서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그 외 경보제약, 안국약품 등도 불법 리베이트 등을 이유로 과징금을 부여받았다. 앞으로 리베이트 업체가 추가 적발될 가능성도 크다. 경찰청 국가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