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재생 촉진 분말형 수화젤 개발…생체재료 분야 응용 기대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이 근육 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 분말형 수화젤(물을 함유한 젤)을 개발했다.

 연구 자료는 생체 재료 분야 상위 1% 논문인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스(Bioactive Materials)'에 지난 6월 14 게재됐다.

 연구팀은 고수분 환경에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갖고 손상된 근육 조직에 뿌려 사용할 수 있는 분말형 수화젤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분말형 수화젤은 신체조직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보였고 손상된 근육의 재생을 촉진했으며 물리적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안정적인 접착성을 가졌다.

 연구팀은 분말형 수화젤이 강한 지혈 효과와 근육 손실 이후 골격근의 기능과 구조를 재생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영 교수는 "기존 수화젤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어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도 손쉽게 도포할 수 있고 강하고 안정적인 접착성을 나타내는 분말형 수화젤을 제작했다"며 "신체 조직과 유사한 기계적 성질을 가져 여러 가지 생체재료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지도하고 이민규 박사, 서다운 박사과정생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