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마신 단 음료…ADHD 위험 높인다

 아이들이 산만하고, 충동적이며, 과도하게 흥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의심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어릴 때부터 즐겨 마신 달달한 음료가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ADHD는 성장기 발달을 방해해 학습은 물론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주의가 필요합니다.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이나 산모의 흡연·음주·독소 노출 등 환경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게 됩니다.

 이런 가운데 어릴 때 가당(加糖) 음료를 많이 섭취하면 ADHD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습니다.

 가당 음료는 단맛을 내는 설탕 등의 당분이 첨가된 음료를 말하는데요.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과일 맛 음료, 스포츠음료 등이 해당합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생후 24개월 이전에 하루 200mL 이상 가당 음료를 마셔온 아이들은 200mL 미만을 섭취한 아이들보다 ADHD 발생 위험도가 17% 높았죠.

 연구를 진행한 김주희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생후 24개월 이전) 가당 섭취가 많은 경우에 ADHD 위험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성인에서도 가당 음료 섭취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ADHD 증상이랑 연관이 있다는 보고들은 몇몇 있는 걸로 확인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가당 음료는 혈당에 문제를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지목되는데요.

 가당 음료에 들어 있는 당류는 별다른 분해 과정 없이 우리 몸에 바로 흡수돼 혈당 수치를 급격히 올립니다.

 이에 따라 식후 급격히 오른 혈당 수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크게 떨어져 현기증·발작·의식 상실 등을 일으키는 '반응성 저혈당증'이 나타날 수 있죠.

 김주희 교수는 "2세 미만은 아직 뇌신경 발달이 진행되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반복적인 반응성 저혈당은 뇌신경 발달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면서 "(가당 음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부제가) 벤조산나트륨으로, 신경 전달 시스템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가당 음료는 신경 발달장애 외에도 비만을 유발해 성인이 된 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알레르기 질환과도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심경원 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가당 음료는) 당뇨라든지 고지혈증과 같은 일반적인 대사증후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 설탕은 칼슘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인의 경우 골다공증, 어린이의 경우는 성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미예 한양대학교의료원 임상영양사는 "수분 보충 시에는 가당 음료 대신에 시원한 물이나 탄산수를 선택하는 것이 권장된다"면서 "(특히 아동의 경우) 어린이 음료 품질 인증을 받은 음료 제품은 일반 제품보다 저당으로,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을 구매해 드시는 게 좋겠다"고 조언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심혈관 질환(CVD)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히는 야간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도 밤에는 먹지 않고 낮에만 식사하면 야간 근무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프랭크 시어 교수팀은 10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젊고 건강한 20명을 대상으로 야간 교대 근무를 모방하고 식사 시간을 통제하면서 심혈관 질환 위험 지표 등을 측정하는 임상시험을 실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식사하면 교대 근무 관련 심혈관 질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교대 근무와 관련된 심혈관 건강에서 식사 시간이 수면 시간보다 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교대 근무는 많은 연구에서 관상동맥 심장질환(CHD) 위험을 높이는 등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위험 증가는 생활방식이나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차이로는 완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시어 교수는 야간 근무나 시차 등 일주기 불일치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며 이 연구에서

메디칼산업

더보기
서울아산병원 '중입자치료기' 도입 계약…2031년 첫 가동
서울아산병원이 최첨단 암 치료 장비인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해 2031년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아산병원은 지난 7일 일본 도시바ESS·DK메디칼솔루션 컨소시엄과 중입자 치료기 도입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병원 측은 서울 송파구 풍납동 캠퍼스에 회전형 치료기 2대, 고정형 치료기 1대를 갖춘 연면적 4만880㎡의 중입자 치료 시설을 건립할 예정이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원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해 나온 에너지를 암세포에 충돌시켜 파괴하는 첨단 치료기기다. 정상 조직은 최대한 보호하고 암 조직만 집중적으로 사멸하는 방식으로, 기존 방사선 치료법 등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치료기간이 짧아 '꿈의 암 치료기'라고도 불린다. 설치에 수천억원이 들 정도로 상당히 고가라 전 세계적으로도 보유한 국가가 많지 않다. 우리나라에선 2023년 연세의료원이 처음 치료기를 도입해 중증 난치성 암 환자를 치료 중이다. 서울대병원은 2027년 부산 기장에 중입자치료센터를 건립하기로 하고 지난해 공사에 착수했다. 서울아산병원이 건립할 중입자 치료 시설은 면적 기준으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치료 장비도 최고 사양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탄소 이온뿐 아니라 헬륨, 네온, 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