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14일 발표하는 현대ADM 조원동 대표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4315976507_8d5033.jpg?iqs=0.43667748965692954)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동물실험에서의 안전성·효능 검증) 단계에서 염증 억제 효과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4일 현대바이오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자회사 현대ADM과 함께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 중간 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페니트리움은 면역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닌, 염증을 지속시키는 병리적 구조인 섬유아세포(CAF)와 세포외기질(ECM)을 제거하는 구조 기반 치료 전략을 따른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에서 페니트리움은 단독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인 면역억제 치료제(MTX) 대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면역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완전관해도 관찰됐다고 한다. 완전관해는 질병의 징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완치와는 다르다.
회사는 페니트리움 투약 9일 만에 효능이 입증됐다면서 용량을 높일수록 더 큰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고 전했다.
또 췌장암, 유방암 동물시험과 유사한 용량 용법에서 효능이 확인됐다면서 동일 치료기전 작동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현대바이오는 다발성경화증(MS) 모델에 대한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 MS는 면역체계가 뇌와 척수 등 중추신경계를 산발적으로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이다.
이 연구에서는 페니트리움의 뇌혈관 장벽(BBB) 투과성이 확인됐고, 신경아교세포 상처 형성 억제와 ECM 구조의 정상화도 관측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BBB는 유해한 물질과 인자가 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지만 중추신경계 질환의 약물 치료를 어렵게 하기도 한다.
현대바이오는 "연구 결과 류마티스 연구 결과에 버금가게 좋은 증상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고 했다.
이날 발표한 최진호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는 "페니트리움의 플랫폼적 치료기전은 질병에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 생체환경으로 바라보고 접근하는 새로운 치료관"이라며 "암은 면역이 억제된 질환이고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이 과잉된 질환이지만, 결국 치료의 핵심은 면역기능을 정상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원동 현대ADM 대표는 "페니트리움은 단순한 항암제나 면역억제제가 아니라 질병의 근본 환경을 복원하는 신개념 치료제"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그 가능성을 입증한 성과로 임상 검증을 향한 첫 출발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앞으로 페니트리움을 암, 류마티스, MS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공통 병리를 해결하는 플랫폼 신약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는 22∼25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AACR-NCI-BORTC' 국제학술대회에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작동 기전을 논문초록 형태로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