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 폐사 일으키는 조류서 독소 만드는 거대 단백질 발견"

美 연구팀 "역사상 最大 단백질…독성 조류 감시·화학산업 등 활용 가능"

 대규모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독성 황갈색 조류(Prymnesium parvum)에서 독소를 만드는 거대 단백질이 발견됐다.

 이 단백질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단백질보다 질량이 25%나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브래들리 무어 교수팀은 9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조류 '프림네시움 바르붐'이 독소를 만드는 과정을 연구하던 중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단백질(PKZILLA-1)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이 단백질을 만드는 거대 유전자와 독소가 만들어지는 화학반응도 규명했다며 이 결과가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독성 조류를 감시와 신약 개발 등을 위한 새로운 화학물질 합성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단백질은 사람 근육에 있는 티틴(titin)이다. 티틴은 길이가 최대 1㎛, 질량이 3.9메가달톤(MDa)에 달해 일반 단백질보다 90배 더 크다. 단백질 질량 단위인 달톤(Da)은 산소 원자 질량의 16분의 1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독성 황갈색 조류 프림네시움 파르붐이 대규모 물고기 폐사의 원인이 되는 프림네신 독소를 어떻게 만드는지 밝혀내기 위해 조사하던 중 거대한 단백질 'PKZILLA-1'과 'PKZILLA-2'를 발견했다. 

  프림네시움 파르붐은 민물과 바닷물에 사는 단세포 생물로, 체내에서 물고기와 다른 물 호흡 동물의 아가미를 손상하는 독소인 프림네신을 생성한다.

 분석 결과 PKZILLA-1은 질량이 4.7MDa로 기존 최대 단백질 티틴보다 25% 이상 컸으며, PKZILLA-2도 3.2MDa로 일반 단백질보다 수십 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어 프림네신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해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 PKZILLA-1과 PKZILLA-2를 만드는 거대 유전자를 확인했다.

 또 이들 단백질이 프림네신 독소를 만드는 데 어떻게 관여하는지 알아보는 추가 실험을 통해 효소로 작용하는 이들 단백질이 239가지의 연쇄 화학반응에 관여해 최종적으로 프림네신 독소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 찾아낸 PKZILLA-1과 PKZILLA-2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면 앞으로 민물과 바닷물 속에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독성 조류가 얼마나 있는지 감시하는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조류가 복잡한 독소를 만들기 위해 진화시킨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화학물질 조립 전략으로 새로운 의약품과 소재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어 교수는 "자연이 화학적 마법사를 어떻게 진화시켰는지 이해하면 이를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데 적용할 수 있다"며 "이 연구 결과가 실험실에서 미래 의약품과 소재를 개발하는 새로운 화학적 가능성을 열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Bradley Moore et al., 'Giant polyketide synthase enzymes in the biosynthesis of giant 1 marine polyether toxins',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o329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우울증 환자 금주 결심, 주변 사람 지지와 교류가 큰 영향…최대 1.7배"
우울증 환자가 술을 끊겠다고 결심하는 데에는 주변 사람의 지지와 사회적 교류가 큰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친구와의 만남이나 여가·레저 활동에 참여하는 등 사회적 교류가 활발할 경우 금주·절주 계획을 세울 확률이 최대 1.7배 높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매달 발간되는 '지역사회 건강과 질병'에 이러한 내용이 담긴 '우울 증상과 금주·절주 계획과의 관련성-사회적 지지의 매개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 보고서가 게재됐다. 연구팀은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토대로 19세 이상 성인 남녀 14만3천341명의 우울감 경험 여부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우울증 환자가 절주 또는 금주 계획을 세우는 건 알코올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지만, 대부분은 자기조절 능력과 동기가 떨어져 금주 계획을 세우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 중 최근 1년 내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이나 슬픔을 느낀 비율은 6.9%(9천849명)였다. 금주 또는 절주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우울 증상이 있는 집단에서는 34.9%, 우울 증상이 없는 집단에서는 27%였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대신 제네릭(복제약) 난립…리베이트 부추긴다
제약업계 고질병으로 여겨지는 불법 리베이트가 올해도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업계는 리베이트 근절 필요성에 동감하면서도 정부가 신약 개발 지원책을 마련해 제네릭(복제약) 공급 과잉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계속되는 불법 리베이트…추가 적발 가능성도 올해 제약업계는 반복되는 불법 리베이트 적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검찰은 3개 중견 제약사와 소속 직원들을 이른바 '전공의 리베이트 사건' 관련 혐의로 기소했다. 병의원 380여 곳을 대상으로 한 대웅제약 영업직원들의 리베이트 영업 의혹에 대한 재수사 결정도 내렸다. 고려제약 불법 리베이트 수사도 본격 진행됐다. 이 회사 제품을 처방해주는 대가로 불법 리베이트를 수수한 의사 319명, 제약회사 임직원 21명 등 340명이 검거됐고 기 가운데 의사, 병원 관계자 등 2명이 구속됐다. JW중외제약은 리베이트 비용을 복리후생비 등 명목으로 속여 법인세를 포탈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신영섭 대표이사는 지난달 열린 첫 공판에서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그 외 경보제약, 안국약품 등도 불법 리베이트 등을 이유로 과징금을 부여받았다. 앞으로 리베이트 업체가 추가 적발될 가능성도 크다. 경찰청 국가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