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3일 조간)

▲ 경향신문 = 뉴라이트, 윤 정부 '전면에' 역사 기관 25개 요직 장악

▲ 국민일보 = 위헌 법률 쌓였는데 여야 입법 직무유기

▲ 매일일보 = 사상 초유의 '두쪽 난 광복절' 되나

▲ 아시아투데이 = 부정대출 4개월 쉬쉬… '임종룡 책임론' 급부상

▲ 일간투데이 = 최상목 부총리 미래항공 현장 시찰

▲ 조선일보 = 사상 초유 '두쪽 난 광복절'

▲ 중앙일보 = 안보투톱 깜짝 교체 대북 강경파 전면에

▲ 한겨레 = '채 상병 외압 의혹' 김용현 국방 지명…야 "인사 만행"

▲ 한국일보 = 귀국한 파리의 영웅들

▲ 글로벌이코노믹 = 美 '조용한 해고' 확산, 경제에 태풍의 눈

▲ 대한경제 = 갈길 먼 밸류업… 시장도 '반신반의'

▲ 디지털타임스 = 금리 월 5회 올려도 못잡는 '대출광풍'

▲ 매일경제 = 무너지는 내수, 사면초가

▲ 브릿지경제 = 내연차 수명연장… 현대차, 후륜 HEV 개발

▲ 서울경제 = 주식형펀드 7700억 유입 … 공포에 샀다

▲ 아시아타임즈 = 54만 전기차주 가해자 낙인에 뿔났다

▲ 아주경제 = 인접지 '풍선효과'… 반포 아파트, 32억 신고가

▲ 에너지경제 = '전기차 공포' ESS업계로 불똥 튈까 긴장

▲ 울산경제 = 울산시 신속 지원에 신흥에스이씨 공장 조기 준공

▲ 이데일리 = '음주운전하면 패가망신' 처벌공식 대폭 강화해야

▲ 이투데이 = 언어·정보 장벽에… 外人 59% '보험 사각지대'

▲ 전자신문 = 공공 정보시스템 2030년까지 90%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 파이낸셜뉴스 = 반도체 장비투자 80%는 해외업체 배불렸다

▲ 한국경제 = 원자재 급락 … '슈퍼사이클' 막 내린다

▲ 전국매일 = 사상 초유 '반쪽 광복절' … 37년만에 경축식 취소

▲ 경기신문 = 2024 파리올림픽 '아듀'

▲ 경기일보 = 경기 청년, 일자리 찾아 'IN 서울'

▲ 경인일보 = 인력난에 지원금도 막혀 흔들리는 도내 소아응급

▲ 기호일보 = 고물가로 가뜩이나 힘든데… 인천 택시료 인상 여부 '촉각'

▲ 신아일보 = '반쪽 광복절' 예고 김형석 '사퇴 거부'

▲ 인천일보 = 송도자원순환센터, 증설 없는 추진 가닥

▲ 일간경기 = 문닫은 광복절 경축식… 김동연 "개탄"

▲ 중부일보 = 공원 약속했지만… 삽도 못댔다

▲ 현대일보 = 도의회, 道비서실-보좌기관 '성역화' 틀 깬다

▲ 강원도민일보 = "양구댐 주민 공감대 없이 강행 안 해"

▲ 강원일보 = "양구댐 결사반대" vs "주민 공감대 우선"

▲ 경남도민신문 = 최상목 부총리 "지속가능한 외국인 정책 협업 구축"

▲ 경남도민일보 = 사회적 갈등 유발 시설 사전고지 조례 도내 한 곳뿐

▲ 경남매일 = 김해 소상공인 "30년 장사 올해 최악"

▲ 경남신문 = 롯데百, 마산점 입점업주에 위로금

▲ 경남일보 = 최상목 경제부총리 사천 다녀갔다

▲ 경북매일 = 롯데칠성, 대구에 첨단 광역물류센터 짓는다

▲ 경북신문 = 道 "대구·경북 통합해도 청사와 명칭은 그대로"

▲ 경북일보 = 쌀값은 폭락하고 묵은쌀은 산더미 농민들은 어이할꼬

▲ 경상일보 = "시내 일본인 사장들 사라지고 해방 실감"

▲ 국제신문 = 전기차 화재 공포… 지하 충전시설 어찌하나

▲ 대경일보 = 파리를 빛낸 경북의 아들 딸

▲ 대구신문 = 대구 군부대 이전지 연내 최종 선정

▲ 대구일보 = 이마트 '식품 전문매장' 전국 최초 대구서 런칭

▲ 매일신문 = 인적 쇄신 카드로 국정 돌파구

▲ 부산일보 = LCC만 뜨는 김해공항, 부산 미래 안 보인다

▲ 영남일보 = 라팍 첫 100만 관중

▲ 울산매일 = 신흥에스이씨 공장 준공 미래 핵심 이차전지 산업 거점도시 성장 발판 마련

▲ 울산신문 = 이성룡 시의장 사퇴 후 재선거 치르나

▲ 울산제일일보 = 수소트램 공사 '교통혼잡' 해법찾기

▲ 창원일보 = "물가는 안정시키고 지역상권은 활성화하고"

▲ 광남일보 = "내가 적임자" 후보들 얼굴알리기 '사활'

▲ 광주매일 = "결혼 꼭 해야 하나요" 혼인 건수 10년 새 30% 이상 '뚝'

▲ 광주일보 = 온실가스 방치 땐 기후 재앙 광주·전남 겨울이 사라진다

▲ 남도일보 =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해놓고 '용두사미'

▲ 전남매일 = 광주형 대중교통 통합할인 G-패스 도입 '산 넘어 산'

▲ 전라일보 = 펄펄 끓는 도로 위로 피어오른 아지랑이

▲ 전북도민일보 = "기울어진 광역의원 정수, 바로잡겠다"

▲ 전북일보 = 전북 경기침체 '늪'…내수회복 '막막'

▲ 금강일보 = 민원따라 오락가락 행정 … 불신만 쌓인다

▲ 대전일보 = 뉴라이트 공방 갈라진 역사관

▲ 동양일보 = 진천 비가림막 불법 증축 강건너 불구경

▲ 중도일보 = 되풀이되는 수해·악화되는 기상… 지천댐 건설 시급

▲ 중부매일 = 다시 돌아온 조국서 기다리는건 가난과 설움

▲ 충남일보 = 충청권 자립준비청년 1167명 독립 어렵다면 재보호 신청을

▲ 충청신문 = 북적이는 대전 0시 축제 현장

▲ 충청일보 = 충북도, 부실 인사 검증 악순환 심각

▲ 충청투데이 = 충청권도 전기차 화재 늘어… 대책 시급

▲ 삼다일보 = "더 쾌적한 고품격 서비스 약속해요"

▲ 제민일보 = "제2공항 고시, 정부 결단해야"

▲ 제주매일 = 경제 체질 대혁신·녹색성장 대전환…민생경제 '마중물'

▲ 제주일보 =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해달라"

▲ 한라일보 = "40년 농사 지었는데, 이런 여름 처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업계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업체 인센티브 필요"
제약업계가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업체에 대한 공식 인증 등 공급지원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과 희귀·필수의약품 긴급도입 기간 단축 방안 등을 건의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8일 서울 중구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환자단체, 의·약사 단체, 제약사와 '의약품 공급지원을 위한 현장 소통 간담회'에서 이런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지원 확대 방안 및 센터 기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센터의 공급지원 사업 현황 및 환자단체 등의 건의·애로사항을 들었다. 환자단체는 최근 공급중단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던 의약품의 공급계획 안내를 요청했다. 식약처는 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함께 희귀질환 의약품을 적시에 공급하고 환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희귀의약품을 신속하게 도입하고 환자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국가필수의약품에 대한 원료·완제의약품의 기술개발과 국내 제약사를 통한 위탁생산을 활용해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급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희귀·필수의약품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업계, 환자단체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적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정강이뼈 뒤로 얼마나 기울었나' AI가 자동으로 측정
무릎 관절의 안정성 등에 관여하는 정강이뼈(경골)가 뒤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촬영된 무릎 관절 측면 엑스레이 영상 1만여건을 바탕으로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골 후방 경사각은 종아리 안쪽에 있는 경골을 옆에서 볼 때 관절이 얼마나 뒤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무릎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평소에 십자인대를 다칠 위험이 크고, 무릎 인공관절 수술 예후도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같은 환자라도 측정하는 사람이나 무릎 엑스레이 촬영 각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수술 예후 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릎 엑스레이 영상에서 무릎뼈의 해부학적 기준점 6곳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준점을 이용해 경골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