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환자 10명 중 3명꼴 혈당 관리 '사각지대'…123만명 달해

2024년 환자 28.1%가 연 0∼1회 검사…합병증 위험 노출
연 5회 이상 과다 검사도 10%…'적정 진료' 문화 시급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꼴인 약 123만 명이 혈당 관리에 필수적인 '당화혈색소' 검사를 1년에 한 번도 받지 않거나 단 1회 받는 데 그쳐 심각한 합병증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4일 '2025년 대한예방의학회 가을 학술대회'에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2024년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HbA1c) 검사 현황'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최근 2∼3개월간의 평균적인 혈당 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당뇨병 진료 지침 등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꾸준히 점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연간 2∼4회(3개월 간격)의 정기적인 당화혈색소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건강보험공단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2024년 기준 전체 당뇨병 환자 439만8천명의 관리 실태는 권고 수준과 차이를 보였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과소 검사' 그룹이었다.

 전체 환자의 28.1%에 달하는 123만6천 명(0회 40만2천 명, 1회 83만4천 명)이 1년 동안 검사를 0회 또는 1회만 받아 혈당 관리가 미흡한 상태였다.

 반면, 권고 수준(연 2∼4회)에 맞춰 적정 검사를 받은 환자는 61.8%(272만1천 명)였다.

 불필요한 '과다 검사' 문제도 확인됐다. 연간 5회 이상 검사받은 환자도 10.0%(44만2천 명)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면 연 5회 이상의 잦은 검사는 당뇨 관리에 새로운 임상적 정보를 주기 어려워 불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1차 의료기관인 의원급에서 과소 검사 문제가 두드러졌다. 1년간 한 곳의 의원만 이용한 당뇨병 환자(242만7천 명)를 분석한 결과, 35.8%(86만9천 명)가 연 0∼1회 검사를 받는 데 그쳤다.

건강보험공단

 일부 의료기관의 관리 부실 사례도 드러났다.

 2024년 당뇨병 외래 환자가 575명이었던 A의원을 비롯한 18개 요양기관은 1년 동안 모든 당뇨 환자에게 당화혈색소 검사를 단 한 번도 실시하지 않았다.

 반대로 B의원은 환자 104명에게 1.7개월 주기로 연평균 7회의 과다 검사를 시행하기도 했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오승환 교수는 "연 1회 이하의 검사는 명백한 '과소진료'이며, 적정 수준의 관리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여전히 많다"며 "정책 강화와 캠페인 등을 통해 환자들이 적절한 주기로 검사받도록 적극 장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국민 건강 향상과 재정 건전성을 위해 의료 현장의 적정진료 문화 정착이 중요하다"며 "빅데이터를 통해 과잉진료뿐 아니라 과소진료 문제에도 주목해 국민이 제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약 '위고비·마운자로' 오남용심각…정부 "우려의약품 지정"
정부가 '위고비', '마운자로' 등 신종 비만 치료제의 오남용 문제에 칼을 빼 든다. 미용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이들 약물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의약분업 원칙을 위반한 의료기관의 '원내조제'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최근 이들 약물은 본래의 당뇨병 치료나 고도비만 환자 대상이 아닌,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게까지 '살 빼는 주사'로 알려지며 미용 목적으로 처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오남용 실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허가 기준을 벗어난 처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명한 입장을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협의해 해당 약물들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약물들은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기적의 약'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전문의약품인 만큼 뚜렷한 부작용 위험을 안고 있다. 가벼운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 등 소화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심각하게는 췌장염이나 장폐색(장 마비) 같은 치명적 합병증까지 보고된 바 있다. 의약분업 원칙을 둘러싼 '원내 조제' 논란도 정부의 관리·감독 대상에 올랐다. 현행 의약분업 원칙상 의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