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맞아 '예초기 사고·벌 쏘임' 주의보…"안전수칙 준수해야"

예초기 사용은 9월, 벌 쏘임은 8∼9월 사고 가장 많아

 행정안전부와 한국소비자원은 추석을 앞두고 벌초 등 풀베기 작업 시 예초기 사용과 벌 쏘임을 각별히 주의하라고 29일 당부했다.

 최근 5년(2019∼202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예초기 안전사고는 총 405건이며, 벌초와 풀베기가 한창인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예초기 사고로 다치는 부위는 '발·다리'가 66%로 가장 많았고, '손·팔' 25%, '머리·얼굴' 5%, '어깨·목' 2% 순이었다.

 예초기 날에 의한 직접적인 상해 외에도 돌 등이 튀거나 안전장치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사고도 있었다.

 또 가을철로 접어들며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므로 야외활동을 할 때는 벌에 쏘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최근 5년간 벌에 쏘여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9만2천660명이며, 이 중 절반인 50%가 8월과 9월에 발생했다.

 8월과 9월에 발생한 벌 쏘임 환자의 연령대는 60대가 28%(1만3천151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 27%, 40대 14%, 70대 12% 순으로 발생했다.

 행안부는 예초기 작업을 하기 전에는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긴 옷을 입으라고 당부했다.

 또 칼날의 부착 상태와 작업봉 결합 여부 등을 꼼꼼히 살피고, 가급적 보호 덮개를 장착해 사용하라고 설명했다.

 예초기 작업 반경 15m 이내로는 가지 않고, 예초기 작업 중 칼날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할 때는 반드시 예초기 전원이나 동력을 차단하고 장갑 낀 손으로 제거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산행이나 벌초, 성묘 등 야외활동 시 벌 쏘임을 예방하려면 어두운색보다 밝은색 계열의 모자와 옷을 선택하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긴 옷차림을 하라고 당부했다.

 벌집을 발견하게 되면 섣불리 제거하려 하지 말고 119로 신고하거나 전문가를 통해 해결하라고 강조했다.

 만약 벌집 등을 건드려 벌이 쏘기 시작하면 땅에 엎드리거나 웅크리지 말고 머리 부분을 보호하면서 신속히 그 자리를 벗어나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25개 주요병원 응급실, 당직의사 혼자 근무해야 할 상황 처해
응급실 운영을 부분 중단했거나 중단할 예정인 병원이 총 5곳으로 집계된 가운데, 순천향천안병원은 소아응급의료센터를 주 3회 주간에만 열기로 했다. 응급실 의사의 부족으로 25개 주요 병원 응급실은 당직의사 혼자서 근무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정부는 응급의료 역량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더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4일부터 군의관의 응급실 파견을 시작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이렇게 밝혔다. ◇ '아슬아슬 응급실' 5곳…군의관 파견 시작 복지부에 따르면 9월 4일 기준 응급실을 부분 운영 중단하거나 중단 예정인 병원은 총 5곳이다. 건국대충주병원, 강원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 이대목동병원 4곳은 응급실을 단축 운영하고 있다. 순천향천안병원의 경우 권역응급의료센터는 24시간 운영하지만, 소아응급의료센터는 주 3회 주간만 진료하고 있다. 이 병원은 현재 소아응급 전문의를 채용 중이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25개 기관은 듀티(근무시간 단위)당 2명 이상이 근무하기 어려운 조건에 처해 운영 스케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곳으로, 계속 병원과 소통하고 대체 인력을 투입하기 위한 노력을 최대한으로 기울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 신경교세포의 사회성 조절 밝혀…9월 과기인상에 이성중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 교수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 의한 정서와 사회성 행동 조절 원리를 규명해 뇌과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평가받았다. 사회적 동물의 특징인 경쟁심과 우월행동은 진화론적으로 뇌 기능에 보존돼 있지만, 어떻게 뇌가 이 경쟁심과 우월행동을 일으키고 조절하는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교수는 뇌 속 신경세포 대비 훨씬 많은 신경교세포에 대한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원인을 찾지 못한다고 보고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생쥐 뇌 연구를 통해 전전두엽 신경교세포의 한 종류인 성상교세포의 활동성에 따라 우월행동의 크기와 그 양상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생쥐의 사회적 서열이 결정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를 위해 그는 생쥐 성상교세포 내 칼슘 활동성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토대로 우월행동을 하는 생쥐 뇌 영역을 관찰해 경쟁 과정에서 칼슘 활동성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또 불안한 환경에서 뇌 속 해마 영역의 성상교세포 활성화가 일어나는데, 이런 활성이 불안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관련 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