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 추석 밤도 열대야될 듯…한낮 30도 내외 무더위 지속

13~19일 아침 19~27도, 낮 26~34도…고기압 버티고 태풍이 습기 주입
간간이 비와 소나기…"보름달도 구름 사이로 보일 듯"

 가을 같지 않은 추석이 되겠다.

 추석 연휴 한낮 기온 30도 내외 더위가 이어진다.

 12일 기상청은 한반도 위에 고기압이 버티고 있으면서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는 것이나 남쪽에서 태풍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상황이 연휴에도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대기 상층엔 티베트고기압, 중하층엔 북태평양고기압이 자리했다.

 비가 내릴 때를 제외하면 낮 기온이 대체로 평년기온보다 5도 안팎 높은 30도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13호 태풍 '버빙카'가 주말 간 일본 오키나와와 중국 상하이 사이 동중국해를 지나면서 따뜻하고 습한 바람을 더해 더위를 부추기겠다.

 이에 보름달이 뜨는 한가위 밤조차 열대야일 수 있겠다.

 태풍 버빙카는 12일 오전 9시 괌 북서쪽 730㎞ 해상을 지났고 한반도를 덮은 고기압을 뚫지 못하고 북서진을 거듭해 중국 상하이 쪽에 상륙하겠다.

 만약 한반도 쪽 고기압 강도가 예상보다 약해지면 버빙카가 우리나라에 더 가깝게 지나면서 우리나라 날씨에 더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추석 연휴 무더운 가운데 간간이 비와 소나기도 내리겠다.

 버빙카가 고온다습한 공기를 주입하는 데 더해 우리나라 북쪽으로 기압골이 반복해서 지날 것이기 때문이다.

 13~14일은 남쪽에서 들어오는 수증기와 북쪽에서 남하하는 기압골 사이에 비구름대가 발달해 수도권과 강원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비가 오겠다.

 15일은 북쪽에서 고기압이 남하하면서 우리나라로 동풍이 불어, 이 동풍을 맞는 강원영동·경상해안·제주에 비가 내리고 내륙엔 종종 소나기가 오겠다.

 16일에는 버빙카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더 들어오면서 제주와 남해안에 산발적으로 호우가 쏟아지겠다.

 추석인 17일에는 남쪽에서 수증기 계속 북상해 들어오면서 12일과 비슷하게 흐린 가운데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비가 예상된다.

 기상청은 추석 구름 사이로라도 보름달을 볼 수 있는 지역이 많을 것으로 봤다.

 서울의 경우 올해 추석 월출 시각은 오후 6시 17분으로 예상된다.

 연휴 마지막 날인 18일에는 북쪽에서 찬 고기압이 내려오면서 동풍이 불어 강원영동에 비가 내릴 수 있다.

 18일부터 북쪽 찬 고기압 남하로 가을 '분위기'가 날 수 있으나 아직 확신하기는 이르다.

 현재 16일 이후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열대요란이 열대저압부로 발달할 가능성이 감지되는데 이 열대저압부가 더위가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이번 연휴 바다날씨는 대체로 양호하겠다.

 다만 15~16일 서해남부·남해·제주해상에 물결이 1~4m로 높겠고, 18~19일 남해동부·제주해상에 1~3m 높이의 물결이 치겠다.

 15~17일 제주해안과 서해안, 남해안에 너울이 강하게 유입되겠으니, 더위를 피해 바닷가를 찾을 계획이라면 주의해야 한다. 또 대조기(18~21일)에 가까워 바닷물 높이가 높겠으니 해안 저지대는 침수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