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세 김형석 교수 "해로운 걸 멀리해야 오래 산다"

신간 에세이 '100세 철학자의 사랑수업'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시인 윤동주(1917~1945), 소설가 황순원(1915~2000)과 숭실중학교 시절을 함께 보냈다.

 세 살 많은 윤동주와는 3학년까지 같은 반에서 공부했고, 황순원은 한두 학년 위였다고 한다.

 1920년 4월생인 김 교수의 현재 나이는 104세다. 의학과 삶의 질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길어졌다고 하지만, 흔히 볼 수 없는 장수(長壽)인 셈이다.

 그러나 김 교수는 뜻밖에도 어린 시절 병약했다고 한다.

 그가 쓴 신간 '100세 철학자의 사랑수업'(열림원)에 따르면 김 교수는 어린 시절 알 수 없는 이유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곤 했다.

 어머니의 소원은 그가 스무살까지 사는 것이었다고 한다.

 "제발 좀 20살까지만 살아라. 너무 일찍 죽지 말라."

 "나에게 건강을 주셔서 내가 건강을 회복하게 되면, 알 수는 없지만 어른이 될 때까지 살게 해주신다면, 나를 위해서 일하지 않고, 하나님의 일을 위해서 일하겠습니다."

 그게 그의 소원이었고, 이 같은 삶의 태도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김 교수는 말한다.

 '인생사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고사처럼, 어린 시절 겪은 건강 문제는 오히려 그의 "삶에 큰 복"이 됐다.

 김 교수는 "건강이 약하니까 그때부터 지금까지 내 건강에 손해가 되는 해로운 것은 그 어떤 것도 하지 않는 습관을 들이게 됐다"고 한다. 그가 오랜 세월 건강을 지킨 비결이다.

 우선 스트레스받을 정도로 일을 하지 않는 게 제1원칙이었다.

 일에 쫓기지 않기 위해선 '미리미리' 해 놓는 게 필요했다.

 원고를 쓰고, 강연할 때, 그는 반드시 마감 일주일 전에는 준비를 마친다고 한다.

 술, 담배는 일절 하지 않았다.

 다만 와인은 분위기에 따라 조금 마셨다고 한다.

 음주와 흡연만 해로운 건 아니다.

 이기주의자도 몸에 해롭긴 마찬가지다.

 그는 "이기주의자는 만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다.

 "이기주의자라는 판단이 확실히 선다면 안 만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고통을 주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을 내 힘으로는 바꿀 수 없다."

 그렇게 무리하지 않고, 조심하면서, 좋은 사람을 만나다 보면, 생각보다 긴 여명을 누릴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건강하게 태어나 무리하는 사람보다는 건강하지 못하게 태어나 해로운 것을 멀리하는 사람이 더 오래 산다."

 단순히 오래만 산다고 좋은 건 아니다. 삶에는 버팀목이 있어야 한다.

 오랜 삶을 지탱할 수 있는 건 사랑이라고 그는 단언한다.

 김 교수는 책에서 인생의 본질이 "사랑"이라고 강조한다.

 자녀와 손자녀를 사랑하고, 아내를 사랑하고, 친구를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나아가 공동체를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비결이라는 것이다.

 "'저희를 위해서 좀 더 오래 수고해주세요'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인사를 들을 때 나는 정말 오래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남의 사랑을 빼앗지 않고, 남의 물질을 빼앗지 않고 함께해주는 수고를 통해 공동체적 사랑을 이룩하는 것만큼 삶의 커다란 원동력은 없는 것이다…. 100년이 넘는 내 삶은 사랑이 있어 행복한 시간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차세대 방사선의약품 개발 협력 연구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질병 진단과 치료 분야에 급성장하는 차세대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위해 한국원자력의학원과 협력 연구를 한다고 6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RI신약센터는 차세대 암 치료 물질로 주목받는 악티늄-225 생산 허가를 취득해 동남권원자력의학원과 공유하고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최근 질병의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을 위해 두 기관의 방사성동위원소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 기존 방사성의약품 연구와 사업을 면밀히 평가해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중·장기적으로 신약 개발에 드는 비용과 기간을 줄여 동남권 방사선의과학단지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은 "국가RI신약센터는 국내 유일의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연구기관으로서 오랜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며 "악티늄-225 생산 허가는 우리나라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의 전환점을 마련한 성과로 긴밀히 협력해 대한민국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