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사고로 연평균 8천여명 구조…9∼10월에 출동 ¼ 집중

지난해 '실족 및 추락'이 3천186건으로 가장 많아

 가을철을 맞아 산을 찾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산악사고 구조 출동 10건 중 4건이 9∼10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2021∼2023년 전국 산악사고 구조 건수는 총 3만3천236건, 구조 인원은 연평균 8천389명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월별로는 날씨가 선선해지는 9월부터 빠르게 늘기 시작해 9∼10월 두 달간 전체 출동 건수의 25%가 집중됐다.

 산악사고의 경우 지형 특성상 응급환자가 발생할 시 신속한 출동 및 이송이 어려워 소방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전국 32대의 소방헬기는 긴급 출동 태세를 갖추고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소방청은 산행 도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등산로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 및 산악위치표지판, 익숙한 지형지물을 확인한 후 즉시 119에 신고하라고 안내했다.

 또 출동을 기다리는 동안 간이구조 구급함에 비치된 비상 의약품으로 응급처치하라고 조언했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 "일교차가 큰 가을철에는 산행 전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일몰 전에 하산할 수 있도록 자신의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지정된 등산로를 벗어나거나 음주 후 산행은 매우 위험하므로 산행 안전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강조했다.

최근 3년간 월별 산억사고 구조건수

[표]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 실적 (단위 : 건, 명)

 

구 분 2021년 2022년 2023년 합계
구조건수 12,040 10,389 10,807 33,236
구조인원 8,348 8,706 8,113 25,16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