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실종신고 작년 1만4천677건…배회감지기 이용률 2.9%

61%는 수도권에서 신고…장종태 "배회감지기 보급률 높일 대책 필요"

  작년 치매 환자의 실종 신고가 1만5천건에 근접했지만, 실종자의 신속한 발견을 돕는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종태 의원이 최근 경찰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 실종신고는 작년 1만4천677건으로, 2019년 1만2천131건보다 21.0%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4천473건), 경기(3천734건), 인천(803건) 등 수도권이 9천10건으로 전체의 61.4%를 차지했다.

 작년 배회감지기 이용자는 4천293명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상 치매 환자 14만9천605명의 2.9%에 불과했다.

 배회감지기는 위치정보시스템(GPS)이 내장돼 치매 환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추적, 보호자가 확 인할 수 있는 기기다.

 설정해 둔 권역을 벗어날 경우 보호자 알림, 위기 상황 긴급호출 알림 등이 전송된다.

 보급률의 지역별 편차도 커서 강원도의 경우 13.7%였지만, 제주도는 0.2%에 그쳤다.

 실종 신고가 많은 서울과 경기는 각각 1.7%로 평균에 못 미쳤다.

 장종태 의원은 "치매 환자 실종은 환자의 생명이 걸린 문제로, 특히 폭염과 한파가 심해지면 실종자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니 신속한 발견이 중요하다"며 "배회감지기 이용률이 저조한 원인을 파악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치매환자 실종신고 작년 1만4천677건…배회감지기 이용률 2.9% - 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