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병 방치하면 치매 위험 커진다고?

 우리나라 노년층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잇몸병을 방치해도 치매 위험이 커진다고 합니다.

 치매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인지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한 혈관성 치매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는데요.

 대한구강보건협회에 따르면 잇몸병도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45세 이상 미국인 6천여 명을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잇몸병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22% 더 높았죠.

 잇몸병은 치아 주위 잇몸이나 잇몸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치아 표면에 달라붙은 세균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고 그 수가 늘어나면 염증이 나타나는데요.

 황진혁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치과 교수는 "지속해 염증 물질을 발산하게 되면 그것들이 혈류를 타고 몸 여러 군데에 가서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치매는 산소가 뇌로 덜 가든지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에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씹는 동작이 인지장애나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요.

 황진혁 교수는 "뇌에서 가장 가까운 큰 근육이 씹는 근육인데, 씹는 근육이 활성화돼야 뇌로 가는 혈류량이 많아지고 그런 혈액을 통해 산소가 공급될 수 있고 영양소도 공급이 될 수 있으니까 아무래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치매 예방을 위해선 구강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요.

 치과에서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는 것도 좋지만 올바른 양치 습관을 형성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황진혁 교수는 "치아와 잇몸 사이 경계 부위를 신경 써야 한다. 경계를 잘 닦으려면 칫솔모가 그사이에 잘 들어갈 수 있게 45도 각도로 살짝 밀어 넣어서 진동을 양옆으로라든지 돌리든지 해서 찌꺼기 같은 것을 잘 빼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정확한 장소에 잇솔질을 하는 게 오래 닦는 것보다 더 중요할 것 같다"고 조언했습니다.

 이 외에도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고혈압, 당뇨, 비만 등 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뇌세포를 손상하는 과도한 음주나 흡연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대신 적절한 운동과 사회활동을 통해 인지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박기형 가천대길병원 신경과 교수는 "노년기에는 근감소증이 중요한 위험 요소여서 근력 운동도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중년기에 청력이 떨어지는 것은 치매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청력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치매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진료받아 치료가 가능한 종류인지 또는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막을 수 있는 요소가 뭔지 진단을 정확하게 내리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생명硏,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출범…차세대 치료제로 주목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22일 대전 본원에서 한국화학연구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주관 기관들의 원장·연구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글로벌 톱(TOP)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현판식을 열고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갔다. 글로벌 톱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정부출연 연구기관(출연연) 간 칸막이를 없애겠다며 올해 새로 시작하는 연 1천억원 규모의 5개 '글로벌 톱 전력연구단' 중 하나이다. 유전자·세포치료 기반 유전자치료제는 한 번의 투약으로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함으로써 기존 신약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단은 유전자·세포치료 분야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공공 연구·사업개발(R&BD) 플랫폼을 구축해 민간기업의 첨단의약품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부터 5년 동안 총 850억원 규모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생명연 정경숙 단장이 총괄 주관하고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출연연과 대학, 병원, 기업들이 함께 참여한다. 김장성 생명연 원장은 "희귀·난치질환 유전자치료제 상용화를 통해 국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