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병 방치하면 치매 위험 커진다고?

 우리나라 노년층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잇몸병을 방치해도 치매 위험이 커진다고 합니다.

 치매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인지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한 혈관성 치매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는데요.

 대한구강보건협회에 따르면 잇몸병도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45세 이상 미국인 6천여 명을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잇몸병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22% 더 높았죠.

 잇몸병은 치아 주위 잇몸이나 잇몸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치아 표면에 달라붙은 세균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고 그 수가 늘어나면 염증이 나타나는데요.

 황진혁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치과 교수는 "지속해 염증 물질을 발산하게 되면 그것들이 혈류를 타고 몸 여러 군데에 가서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치매는 산소가 뇌로 덜 가든지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에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씹는 동작이 인지장애나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요.

 황진혁 교수는 "뇌에서 가장 가까운 큰 근육이 씹는 근육인데, 씹는 근육이 활성화돼야 뇌로 가는 혈류량이 많아지고 그런 혈액을 통해 산소가 공급될 수 있고 영양소도 공급이 될 수 있으니까 아무래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치매 예방을 위해선 구강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요.

 치과에서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는 것도 좋지만 올바른 양치 습관을 형성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황진혁 교수는 "치아와 잇몸 사이 경계 부위를 신경 써야 한다. 경계를 잘 닦으려면 칫솔모가 그사이에 잘 들어갈 수 있게 45도 각도로 살짝 밀어 넣어서 진동을 양옆으로라든지 돌리든지 해서 찌꺼기 같은 것을 잘 빼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정확한 장소에 잇솔질을 하는 게 오래 닦는 것보다 더 중요할 것 같다"고 조언했습니다.

 이 외에도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고혈압, 당뇨, 비만 등 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뇌세포를 손상하는 과도한 음주나 흡연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대신 적절한 운동과 사회활동을 통해 인지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박기형 가천대길병원 신경과 교수는 "노년기에는 근감소증이 중요한 위험 요소여서 근력 운동도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중년기에 청력이 떨어지는 것은 치매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청력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치매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진료받아 치료가 가능한 종류인지 또는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막을 수 있는 요소가 뭔지 진단을 정확하게 내리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암 진단은 물론 치료, 면역 반응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항암 치료에 쓰이는 기존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은 암 조직뿐만 아니라 정상 조직에까지 손상을 가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지름 1∼100(㎚·10억분의 1m) 크기 나노물질은 암세포와 병변 부위를 정밀하게 표적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는 뛰어난 차세대 암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표준연 나노바이오측정그룹은 암 부위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치료하고, 면역 반응 체계도 활성화할 수 있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금 사이에 철을 넣은 나노디스크(나노 원형 형태) 형태의 삼중 층 구조로, 종양 부위에 자석을 대면 철의 자성으로 인해 나노물질을 쉽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광음향 영상(조직에 레이저 빛을 쪼여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해 조직 내부의 정보를 얻는 영상 기법) 기능을 탑재해 종양의 위치와 물질의 전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종양 부위에 나노입자가 축적되는 과정을 추적,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이 물질을 투여한 뒤 6시간 지난 시점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