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지리산까지 케이블카 추진…무등산도 바람 불까

관광자원·노약자·장애인 위해 설치해야…광주시 "검토한 바 없어"
장불재 군용 도로 활용 대안 제시도

 최근 설악산과 지리산에 케이블카 사업이 추진되면서 국립공원 무등산에도 케이블카가 들어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리산을 끼고 있는 전남 구례군은 오산 사성암 인근부터 구례읍 봉서리까지 2.34㎞ 구간의 케이블카를 포함한 오산 관광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전남도 도시계획위원회로부터 조건부 가결을 받았으며 추가 행정 절차를 거쳐 내년 12월 착공, 2027년 4월 완공을 계획하고 있다.

 배훈천 광주시민회의 대표는 17일 "설악산과 지리산까지 케이블카가 추진되고 있는 마당에 광주의 랜드마크이자 세계지질공원인 무등산에도 케이블카가 설치돼야 한다"며 "특히 광주에 복합쇼핑몰이 들어서면서 약 1천만 유동 인구가 예상되는 만큼 관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는 필수다"라고 말했다.

 케이블카를 활용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도 무등산을 관람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무등산을 자주 찾는다는 광주시민 서동현(34)씨는 "어른이 되면 함께 무등산을 오르자던 아버지가 무릎을 다친 뒤로 함께 오를 수 없어 항상 아쉬웠다"며 "케이블카가 설치된다면 어르신들과 아이들을 데리고 무등산을 가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광주시는 케이블카 설치 현안에 대해 검토하는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재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며 "경제적 효과를 이유로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환경 훼손을 우려하는 시민단체 의견도 맞서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무등산의 접근성을 높이는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허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최근 국립공원에서 케이블카 논의가 활발해지는 상황에서 무등산의 환경을 고려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원효사∼장불재 구간 군용 도로를 개방해 열차나 버스를 운행한다면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무등산을 탐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야간·휴일 소아진료기관 140곳까지 20%확충…긴급진료체계 구축
정부가 소아 환자를 돌보는 '달빛어린이병원'을 2030년까지 20% 가까이 늘려 140곳까지 확충할 방침이다. 달빛어린이병원은 평일 야간 시간대나 휴일에 소아 경증 환자를 진료하는 곳으로, 응급실로 쏠릴 수 있는 소아 경증 환자를 분산시키고 환자나 가족들의 응급실 이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8일 정치권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필수의료 강화를 목표로 달빛어린이병원 확충을 보건복지 분야 국정과제 중 하나로 삼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30년에 달빛어린이병원을 모두 14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중앙응급의료센터(E-gen)에 따르면 이달 기준 달빛어린이병원은 전국에 119곳이 운영 중으로, 정부는 2026년 120번째 병원 설치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매년 5개씩 병원 수를 늘려갈 방침이다. 달빛어린이병원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복지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야간·휴일 소아 진료 기관이다. 응급실보다 대기 시간과 비용 부담이 적으면서도 전문적인 소아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지침에 따르면 정부는 별도 공모 기간 없이 의료기관으로부터 상시로 지원받아 달빛어린이병원을 지정한다. 정부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걸음걸이 약간만 교정해도 무릎관절염 통증 줄일 수 있다"
걸을 때 발의 각도 등 걸음걸이를 교정하면 골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진통제 복용 수준으로 완화할 수 있고 관절 연골 퇴화 속도도 늦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와 유타대, 스탠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18일 의학 저널 랜싯 류머티스학(Lancet Rheumatology)에서 무릎관절염 환자 68명에 대한 보행 자세 교정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걷을 때 발의 각도를 약간 조정하면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과 연골 손상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공동책임자인 뉴욕대 발렌티나 마촐리 교수는 "이 결과는 환자들이 무릎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최적의 발 각도를 찾도록 돕는 것이 초기 골관절염을 해결하는 쉽고 저렴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인 7명 중 1명이 골관절염을 가지고 있고 흔히 무릎 안쪽 부위에서 나타나는데, 무릎에 가해지는 과도한 하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환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골관절염은 고령화와 함께 크게 증가하고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일반적으로 진통제, 물리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하다가 더욱 악화하면 무릎 인공관절 대체술을 받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