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제도 개선 등으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지원해야"

이지영 보라매병원 신경과 교수 인터뷰…"환자의 일상생활 지원도 필요"

 "진행성 핵상 마비(PSP) 등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시험 제도 개선, 신약 연구 인력 확대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지난 19일 이지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신경과 교수는 동작구 전문건설공제조합 본사에서 PSP 치료제로 개발 중인 'GV1001' 임상시험과 관련해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PSP는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면서 추가적 증상이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을 의미하는 비정형파킨슨증후군으로 분류된다. 보행 장애·강직·인지 저하 등 증상을 동반하며 진행 속도는 파킨슨병보다 약 3배 빠르다.

 앞서 지난달 신약 개발 기업 젬백스앤카엘은 GV1001의 국내 임상 2a상 톱라인(허가 당국에 제출한 평가 결과 요약) 결과 PSP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교수는 해당 임상의 연구책임자를 맡았다.

 임상 당시 PSP 환자의 다수를 차지하는 리처드슨 신드롬(RS) 유형에게 GV1001 0.56㎎을 투여한 결과 위약군 대비 질병 진행이 58%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임상 결과에 대해 "6개월이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진행됐다"며 "많은 환자가 이 기간 임상 프로토콜을 소화하고 1년 연장 투여 임상시험으로 넘어간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기존 PSP 치료제는 위약 대비 별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았다고 이 교수는 전했다.

 이 교수는 GV1001을 비롯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활성화하려면 임상 전문 인력, 임상 제도 개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그는 "경험 많은 임상 의사가 필요하다"며 "파킨슨병 전문가 자체가 국내에 적은 데다 이를 전공했다고 해서 모두가 PSP를 조기진단 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신속한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전임상부터 임상 2상까지 다양한 결과 지표를 허용하는 임상시험시스템 규정이 필요하다"며 "의료진, 환자, 산업계가 치료제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법적 접근성이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희귀질환 환자의 '병원 밖 생활'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환자에게는 의료 외적인 도움도 필요하다"며 "한 사람에게 장애가 생기면 온 가족이 '올 스톱'되는 경우가 많다"고 우려했다.

 이 교수는 기존 운영하던 보라매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클리닉을 확장해 올해 말 파킨슨 및 희귀질환 센터를 오픈할 예정이다.

 그는 "해당 센터를 통해 파킨슨병 등 난치성 질환을 조기 진단하고 임상을 통한 치료제를 개발, 초기에 병의 진단을 늦추거나 멈추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