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쌍둥이 출생 정말 늘었나?

2010년 중반까지 출생 쌍둥이↑…비중은 2022년 정점
산모 고령화와 인공수정 확산 영향

  '쌍둥이 형제가 공군 학사장교로 임관', '쌍둥이 가족 행복 네트워크 출범', '생후 7개월 쌍둥이 딸 살해 혐의 40대 친모 구속', '자연임신 다섯쌍둥이 가정에 9인승 카니발 선물'.

 최근 한 달간 쌍둥이 관련 기사의 제목이다.

 이런 기사가 나올 때마다 온라인 커뮤니티나 기사 댓글에 '요새 쌍둥이가 많아지긴 했다'는 의견이 올라온다.

 저출생으로 아기 울음소리를 듣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쌍둥이들은 오히려 많이 태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일까?

 통계청의 인구 동향 조사 자료를 보면 쌍둥이의 출생이 2010년대 중반 이후 감소 추세지만 과거에 비하면 상당히 증가했다.

 여기서 쌍둥이는 흔히 말하는 쌍둥이뿐 아니라 세쌍둥이 이상도 포함한다.

 통계청 통계나 학술논문 등에서 사용하는 '다태아'를 가리킨다.

 세쌍둥이 이상의 수가 많지 않고 '다태아'라는 용어가 낯선 점을 고려해 '쌍둥이'로 통칭했다.

 쌍둥이 출생이 2010년대 중반까지 늘어난 것은 저출생 추세를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전체 출생아 수는 1993년 71만5천826명에서 꾸준히 감소해 지난해 23만28명으로 3분의 1토막이 났다.

 이에 따라 전체 출생아에서 쌍둥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3년 1.13%에서 2022년 5.81%까지 올랐다.

 지난해 5.49%로 한풀 꺾였지만 1990년대 내내 1%대에 머문 것과 비교하면 쌍둥이 출생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을 유지하고 있다.

출생 쌍둥이 추이

 전문가들은 쌍둥이 출생 증가의 원인을 산모의 고령화와 인공수정과 같은 보조생식술의 확산에서 찾는다.

 통계청에 따르면 산모의 평균 연령이 2003년 29.7세에서 지난해 33.6세로 20년 사이 3.9세 많아졌다.

 쌍둥이 산모만 놓고 보면 평균 연령이 2003년 30.7세에서 지난해 35.2세로 4.5세 증가했다.

 전체 출생아 대비 쌍둥이 비중을 산모 연령별로 보면 쌍둥이 출생과 산모 고령화간 연관성이 두드러진다.

 지난해 기준 산모의 연령이 25세 미만인 경우 쌍둥이 비중은 2.0%, 25∼29세는 2.7%에 그쳤으나 30∼34세는 4.5%, 35∼39세는 8.3%에 달했다.

 산모가 고령일수록 쌍둥이 비중이 급격하게 늘었다.

총 출생아 추이

 보조생식술 확산의 영향도 통계 수치에서 확인된다. 정부가 처음으로 2006년에 난임 부부에게 시험관 아기 시술비 일부를 지원했고, 이후 2010년과 2011년엔 난임 부부 지원을 확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출생 쌍둥이 수는 2005년까지는 1만명 내외에서 정체됐다가 정부 지원이 시작된 2006년에 1만843명, 이듬해인 2007년은 1만3천530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로 13.7%, 24.8% 급증했다.

 또한 지원이 확대된 2010년과 2011년에 출생 쌍둥이 수가 전년 대비로 6.5%, 7.9% 증가했고, 2012년에도 12.8% 늘었다.

 박상화 당시 서울대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임달오 공주대 교수는 '우리나라 다태아 출생률 추이에 관한 연구:1981∼2017'(2019)이란 논문에서 "난임부부 체외수정 시술비 정부 지원 사업이 개시된 2006년 이후 다태아(쌍둥이) 출생률의 증가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표] 산모의 평균 연령

(단위: 세)

 

연도 전 체 단태아(단독아) 다태아(쌍둥이)
2003 29.7 29.8 30.7
2004 30.0 30.0 30.9
2005 30.2 30.2 31.1
2006 30.4 30.5 31.3
2007 30.6 30.6 31.8
2008 30.8 30.8 31.9
2009 31.0 31.0 32.0
2010 31.3 31.3 32.2
2011 31.4 31.4 32.5
2012 31.6 31.6 32.7
2013 31.8 31.8 32.9
2014 32.0 32.0 33.2
2015 32.2 32.2 33.3
2016 32.4 32.4 33.6
2017 32.6 32.6 33.9
2018 32.8 32.7 34.3
2019 33.0 32.9 34.5
2020 33.1 33.0 34.6
2021 33.4 33.3 34.8
2022 33.5 33.4 35.0
2023 33.6 33.5 35.2

 

※ 통계청 자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겨울철 호흡기질환 대비 발열클리닉·코로나19 협력병원 재가동
정부가 겨울철 발생 빈도가 높은 호흡기 질환의 철저한 관리를 위해 발열클리닉과 코로나19 협력병원을 재가동한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러한 내용의 겨울철 비상진료대책을 공개했다. 정부는 호흡기질환 급증에 대비해 발열클리닉 100곳 이상과 코로나19 협력병원 200곳 내외를 재가동한다. 가까운 병원으로 경증 호흡기질환 환자를 분산하는 동시에 응급실 과밀화를 방지한다는 구상이다. 조 장관은 "특히 범부처 합동대책반을 운영해 국내외 호흡기질환 유행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고위험군 집중관리와 예방접종 독려 등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겨울철 대비 응급의료체계도 강화한다. 현재 14곳인 응급의료 거점지역센터를 10곳 내외 추가 지정해 중증응급환자 대응 역량을 보완하고, 환자 수용과 후속진료 제공 등 비상진료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해 의료기관에 인센티브도 지급할 계획이다. 심뇌혈관, 소아·분만 등 특정 질환에 대해서는 권역 내 진료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신속한 이송·전원으로 진료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다가올 설 연휴를 지난 추석처럼 특별대응 기간으로 지정·운영해 지원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