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8.6%…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 회복

심폐소생술하면 생존율 1.7배↑…"119 안내 따라 자신있게 해야"

 작년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8.6%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질병관리청은 4일 소방청과 함께 서울 종로구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작년 급성심장정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급작스러운 사망을 초래할 수 있어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연령대별로 보면 80세 이상 환자가 전체의 31.9%로 가장 많았고, 70대 21.5%, 60대 18.6%, 50대 12.7%, 40대 7.1% 순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더 많이 발생한 것이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주요 발생 원인은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경우가 76.7%로 가장 많았다. 추락, 운수사고 등 질병 이외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경우는 22.7%였다.

 환자는 주로 가정(47.0%) 등 공공장소가 아닌 곳(65.0%)에서 발생했다.

 작년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8.6%로 전년(7.8%) 대비 0.8%포인트 증가해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8.7%) 수준이 됐다.

 작년 뇌기능 회복률은 5.6%로 전년(5.1%) 대비 0.5%포인트 증가해 역시 2019년(5.4%) 수준으로 올랐다.

 질병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유행 시기 의료환경이 감염병 위주로 대응하면서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이 감소했으나 다시 환경이 바뀌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한 경우는 31.3%였다.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율은 13.2%로, 미시행된 경우 생존율(7.8%)보다 1.7배 높았다.

 뇌기능 회복률 또한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9.8%로 미시행된 경우 4.2%의 2.3배에 달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에 따라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좋아지는 만큼 심정지 발생 시 목격자의 심폐소생술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허석곤 소방청장은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최초 목격자는 119 신고 시 안내에 따라 자신 있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해달라"고 요청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응급환자 수용·진료' 의료기관에 최대 월 4억5천만원 보상
정부가 겨울철 중증응급환자를 수용하고 배후진료를 제공하는 등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 의료기관에 월 최대 4억5천만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겨울철 발생 빈도가 높은 호흡기 질환의 철저한 관리와 경증 환자 분산을 위해 발열클리닉과 코로나19 협력병원도 재가동하기로 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겨울철 비상진료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250% 가산, 배후진료 수술에 대한 수가 200% 가산 등을 유지하면서 겨울철 호흡기·심뇌혈관 질환 환자 증가에 대비한 응급의료체계 강화와 지원 확대에 중점을 뒀다. ◇ 호흡기질환 급증 대비…'범부처 합동대책반' 구성 정부는 호흡기질환 급증에 대비해 발열클리닉 100곳 이상과 코로나19 협력병원 200곳 내외를 재가동한다. 가벼운 발열·호흡기 질환 증상이 있는 환자는 가까운 발열클리닉이나 협력병원을 먼저 찾도록 해 응급실 과밀화를 방지하겠다는 구상이다. 발열클리닉이 공휴일이나 심야에 진료 시 한시적으로 3만원을 가산 지급하는 등 참여 의료기관에 대한 보상도 강화한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술 마시면 탈모 온다?…논문들 분석해보니 "연관성 떨어져"
음주가 탈모에 악영향을 준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음주와 탈모 사이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메타연구(기존 연구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김원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천연물유효성최적화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및 연세대 원주의대 겸임교수와 부산대 김기훈·김윤학 교수 공동연구팀은 음주와 안드로겐성 탈모의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알코올 및 알코올중독'에 발표했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모발의 성장을 억제해 모발이 서서히 얇아지고 빠지는 질환이다.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보통 유전적 영향이 크지만, 흡연이나 식단,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도 잠재적 원인으로 꼽혀 왔는데, 음주도 알코올 대사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두피 면역을 방해할 수 있어 면역질환인 안드로겐성 탈모를 악화할 수 있다는 이론이 존재해왔다. 하지만 연구팀이 올해 4월까지 공개된 수천 편의 연구를 코호트(동일 집단)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1주일에 소주 3잔 수준의 알코올을 섭취하는 음주자와 비음주자 사이에서 안드로겐성 탈모 발병 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안드로겐성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