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출생아 기대수명 83.5세…코로나19 끝나자 0.8세 상승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1년 전보다 0.8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원인 확률은 암, 폐렴, 심장질환 순으로 높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남자 2.2년, 여자 2.8년 각각 더 높았다.

 생명표는 현재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각 연령대의 사람들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추정한 통계다.

 지난해 출생아(0세)의 기대 수명은 83.5년으로 1년 전보다 0.8년 증가했다.

 기대 수명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2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처음 감소(-0.9년)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 영향이 어느 정도 해소되면서 기대 수명이 다시 증가 전환했다"며 "다만 여전히 일부 영향이 남아있어 2021년과 비교하면 0.1년 더 낮았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80.6년, 여자가 86.4년으로 1년 전보다 각각 0.7년, 0.8년 증가했다.

 남녀 간의 기대수명 격차는 5.9년으로 전년보다 0.1년 증가했다.

 OECD 평균과 비교하면 한국 남자의 기대 수명은 남자는 2.2년, 여자는 2.8년 더 높았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5.9년)는 OECD 평균(5.3년)보다 0.6년 높았다.

 기대 여명은 남녀 전 연령층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60세 남자는 23.4년, 여자는 28.2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1년 전보다 각각 0.7 년, 0.8년 증가한 것이다.

 40세 남자는 41.6년, 여자는 47.2년 더 살 것으로 예상됐다.

 ◇ 80세까지 생존 확률 男 1.0%·女 4.6%…사망 원인 1위는 암

 지난해 출생아가 특정 연령까지 생존할 확률은 전 연령대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

 출생아가 향후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가 63.6%, 여자가 81.8%였다.

 10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 1.0%, 여자 4.6%로 각각 분석됐다.

 지난해 출생아가 암(악성신생물)으로 사망할 확률은 19.1%였다. 사망 원인 가운데 가장 높은 확률이다.

 다음으로는 폐렴(10.0%), 심장질환(10.0%) 순이었다.

 코로나19로 사망할 확률은 2.4%로 1년 전(9.4%)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암(23.8%), 폐렴(11.0%), 심장 질환(8.9%) 순으로, 여자는 암(15.0%), 심장 질환(10.9%), 폐렴(9.5%) 순으로 각각 사망확률이 높았다.

 암이 없다면 기대수명은 3.3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 질환이 없다면 1.2년, 폐렴이 없다면 1.0년 각각 기대수명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환자단체 "'환자기본법안' 발의 환영…환자 권익 증진 기대"
환자가 환자 정책 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환자기본법안' 발의에 환자단체가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4일 논평을 내고 "환자기본법안은 환자를 보건의료의 주체로 세워 환자의 권익을 증진하는 것"이라며 "지난 의료공백 10개월 동안 환자와 국민이 겪어온 고통을 외면하지 않겠다는 입법적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의원은 전날 환자 중심의 보건의료 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사항을 규정해 환자가 신체·정신·사회적으로 건강한 삶을 회복할 여건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환자기본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법안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장관은 환자 정책에 관한 기본 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하고, 관련 실태조사를 3년마다 실시해 결과를 공포해야 한다. 또 환자의 건강 보호에 관한 정책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복지부 장관 소속 환자정책위원회를 두고, 환자 정책 결정 과정에 환자 또는 환자단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환자가 권리를 가진 주체로서 안전한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투병하며 삶의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