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6일)

[오늘의 증시일정](6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아톤 [158430](BW행사 62만152주 3천870원)
    ▲ 윙입푸드 [900340](유상증자 205만주 5천602원)
    ▲ HLB글로벌 [003580](CB전환 52만8천680주 3천783원)
    ▲ 에쓰씨엔지니어링 [023960](CB전환 2만1천126주 1천420원)
    ▲ HLB파나진 [046210](CB전환 1만1천600주 3천17원)
    ▲ 케이알엠 [093640](CB전환 2만2천404주 5천689원)
    ▲ 티로보틱스 [117730](CB전환 33만5천302주 6천263원)
    ▲ 삼보산업 [009620](무상감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5일) 주요공시]
    ▲ 엑스플러스[373200], 95억원 유상증자...오르비텍에 제3자배정
    ▲ 미코바이오메드[214610], 1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오르비텍[046120] "엑스플러스 주식 95억원어치 추가취득…지분율 20.1%"
    ▲ 한국선재[025550] "만호제강 주식 141억원어치 취득…지분율 9.9%"
    ▲ 한컴위드[054920], 계열사 한컴 주식 150억원에 추가 취득 결정
    ▲ 크라우드웍스[355390] "캔디플러스스튜디오 주식 20억원에 취득"
    ▲ 동양피스톤[092780] "자회사 디와이피에코 주식 1억원에 취득"
    ▲ 증선위, 700여 추천종목 선매수후 차익실현 핀플루언서 검찰고발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56세 국가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 도입…양성자 확진검사 지원
질병관리청은 올해부터 국가건강검진에서 C형간염 항체 검사를 실시하고 양성자에게 확진 여부 검사 비용을 지원한다고 22일 밝혔다. 대상 연령은 56세로 올해는 1969년생 수검자가 해당된다. 항체 검사 양성 판정은 대상자가 현재 C형간염을 앓고 있거나 과거에 감염됐다가 치료된 경우임을 뜻한다. 따라서 해당자는 국가건강검진 항체 검사 결과를 확인한 후 양성일 경우 가까운 병·의원에서 확진 여부 검사를 받아야 현재 감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질병청은 이 확진 검사의 진찰료와 검사비 본인부담금를 최초 1회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 단 국가건강검진의 여타 항목과 동일하게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서 검사하게 되면 지원받을 수 없다. 지원금을 받으려면 진료비 상세내역을 첨부해 인근 보건소나 정부24(www.gov.kr)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된다. 지원금 신청 기한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이듬해 3월까지다.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만성 간질환으로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드물게 피로와 구역질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주로 주사기 재사용, 수혈, 투석, 성접촉 등을 통해 혈액으로 전파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혈액 매개 전파를 주의해야 한다. 또 C형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스트레스에 의한 혈관 내 세포 움직임 실시간 관찰 영상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유홍기 교수팀은 고려대 구로병원 김진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스트레스에 의한 혈관 내 세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생체 내 영상 획득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30%)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혈관 질환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급성 스트레스는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게 하고, 이는 혈관 내벽 세포 에 영향을 미쳐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 또한 조혈모세포를 활성화해 면역 세포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지금까지는 심장 박동으로 인한 혈관의 움직임 때문에 이런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초점 가변 렌즈를 생체 내 광학 현미경에 도입해 혈관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투명한 액체로 채워진 초점 가변 렌즈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액체를 둘러싼 탄성막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기계적인 움직임 없이도 초점 거리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심장 박동 신호와 렌즈의 초점 조절을 동기화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혈관을 물리적으로 고정하거나 특정 시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존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