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경이를 관찰하는 법…신간 '식물을 보는 새로운 눈'

 괴테는 '파우스트'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쓴 독일의 국민 작가다.

 절반만 맞는 얘기다.

 그는 글을 쓰는 시간 못지않게 자연을 관찰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 과학자이기도 했다.

 괴테는 예술 활동을 위한 영감을 항상 자연의 "드러나 있는 성스러운 비밀"에서 얻어왔으며 그 비밀들은 우리가 감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드러내 준다고 말했다.

 그는 예술과 과학이 모두, '우주를 탄생시킨 모든 존재의 근원 요소'(primal source of all being)에서 발생하거나 거기로 향해 있다고 여겼다.

 사람들은 작가 괴테는 존경했지만 '과학자' 괴테는 무시했다.

 한 사람이 과학과 예술처럼 극단적 반대영역에서 동시에 천재일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괴테가 구름, 식물, 광물, 동물, 색채, 인간을 관찰해 남긴 수많은 기록은 독일 바이마르 서고에 내팽개쳐진 채 오랜 세월 잠들었다.

 100년 후 과학자 루돌프 슈타이너가 이 자료들을 편집해 정리한 이후에야 사람들은 '과학자' 괴테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연구의 방대함과 정확성에 찬탄을 금치 못했다. 괴테를 두고 '유기적 세계의 코페르니쿠스이자 케플러'라는 칭송이 잇따랐다.

책 표지 이미지

 책을 가로지르는 아이디어는 자연을 관찰하는 괴테의 총체적인 방식이다.

 자연 관찰과 예술 활동이 서로 보완함으로써 사물을 깊이 있게 인식하도록 돕는다는 철학 말이다.

 책 속의 계절은 감자를 캘 무렵인 늦가을 혹은 초겨울에서 시작해 한겨울과 봄과 여름을 지나 탐스럽게 열린 열매를 수확하는 가을로 돌아와 끝났다.

 그 1년간 식물을 관찰하고 그리는 방법을 저자들은 소개한다.

 20m가 넘는 거대한 너도밤나무가 그저 낙엽 사이에 흩어져있던 도토리만 한 작은 열매에서 비롯됐다는 사실, 정물화의 대상이 되는 과일이나 식물도 고요하지만, 여전히 활동하는 생명이라는 사실 등 관찰과 그리기는 생명의 경이로움을 깨닫는 일련의 과정이다.

 "우리는 겨울에서 시작하면서 회색, 흰색, 검은색으로 헐벗은 계절을 냉철한 눈으로 '있는 그대로' 보았다. 보이는 것에도 그림을 그리는 방식에도 딱딱하게 결정화된 요소가 있었다…우리는 그 안에 숨어 있는 경이로움과 영광을, 곧 지난여름 하얀 등불 같았던 어수리의 꽃 무리와 우아한 참나무의 자태 그리고 미래에 대한 예감을, 천상의 상상력과 겨울 꿈 안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책의 부제는 '관찰과 그리기로 자연과 하나 되기'다.

 이정국 옮김. 200쪽.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