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 순천향대서울병원 등 10곳 선정

심뇌혈관질환관리위 의결…"중앙·권역·지역 협력 대응체계 첫발"

 보건복지부는 16일 올해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고 순천향대서울병원 등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곳을 새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기초 지역사회 내 심뇌혈관질환자의 급성기 최종치료를 24시간 제공하고, 퇴원환자 관리와 지역 내 교육·홍보 등을 담당한다.

 위원회는 지난달 공모에 지원한 71개 의료기관을 심사해 취약지 진료권에서 우수한 역량을 가진 기관 10곳을 신규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로 지정하기로 의결했다.

 선정된 곳은 순천향대서울병원(서울)·의정부을지대병원(경기)·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경기)·인천세종병원(인천)·세명기독병원(경북)·창원한마음병원(경남)·동강병원(울산)·대전을지대병원(대전)·효성병원(충북)·성가롤로병원(전남)이다.

 그간 정부는 심뇌혈관질환 연구와 정책 개발 등을 담당하는 중앙센터(서울대병원)와 시·도 단위 거점기관으로 고난도 치료를 24시간 제공하는 권역센터(강원대병원 등)를 지정해 운영해 왔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센터는 이들 기관과 협력하며 보다 작은 단위의 지역사회 수요에 대응하고, 기술 지원 등을 받으며 필요시에는 권역센터와 협조해 환자를 이송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날 위원회는 지난해 2월 시작한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진료 협력 네트워크 시범사업 추진 현황도 보고받고 보상 방향 등을 논의했다.

 위원장인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지정돼 급성기 심뇌혈관질환자에 대한 적기 치료가 지역 내에서 완결되면 의료개혁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전국적 대응 인프라를 계속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