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설날에 떡국은 우리나라만 먹나?

조선 중기부터 '떡국' 기록…'나이 먹는 음식' 의미
가래떡 떡국은 한국만 전통…중일도 유사 음식 먹어

  '떡국을 먹어야 한 살을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떡국은 설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명절 음식이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뽀얀 고깃국물에 하얀 가래떡을 넣고 고명을 올린 떡국 한 그릇은 한 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단순한 음식을 넘어선 특별한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새해에 떡국을 먹는 문화는 우리나라만의 전통일까?

 흔히 떡국은 멥쌀가루로 길게 만든 흰 가래떡을 얇게 썰어 맑은 장국에 끓인 음식을 말한다.

 떡국의 유래와 기원에 대해서는 전승된 기록이 충분하지 않아 정확한 알기 어렵지만, 조선 후기 세시풍속을 담은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 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 책들은 떡국이 새해 차례와 아침 식사에 없으면 안 될 음식이며, 손님 접대용으로 꼭 내놓았다고 전하고 있다.

 당시 떡국은 겉모양이 희어 '백탕'(白湯), 떡을 넣고 끓였다고 해 '병탕'(餠湯) 등으로 불렸다고 한다.

 조선 중기 이식의 '택당집'에도 새해 첫날의 제사상을 차릴 때 병탕과 만두탕을 한 그릇 올린다는 기록이 있다.

 이보다 앞서 떡국에 대한 기록은 찾기 쉽지 않아 조선 초·중기부터 먹었다는 시각이 있다.

 중국의 '탕병'(湯餠)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구한말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문잡'에서 '신년은 천지만물의 부활과 신생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갈하고 깨끗한 흰 떡과 그 떡으로 만든 국을 먹는다'며 떡국을 상고시대부터 먹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민가에서는 떡국을 먹어야만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해 아이들에게 '병탕 몇 그릇 먹었느냐'며 나이를 묻곤 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나이를 먹게 하는 떡'이라는 의미로 떡국을 '첨세병'(添歲餠)이라고 불렀다.

 오늘날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먹는다'는 이야기는 생각보다 오래된 것이다.

 ◇ 지역별로 '떡국' 재료 달라…꿩고기도 사용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등에 따르면 과거 떡국 국물을 우리는 주재료로는 꿩고기가 으뜸이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꿩고기를 구하기 어려워 닭고기로 국물을 내기도 했고, 여기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오늘날은 쇠고기로 만드는 게 일반적이다.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밝힌 떡국 육수별 특징을 보면 멸치, 닭고기, 한우, 사골 중 감칠맛·진한 맛·구수한 맛은 한우가 가장 강하다.

 사골로 끓인 국물은 가장 담백하고, 닭고기 국물은 색과 향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진하고 구수한 맛에서 한우에 그다지 뒤지지 않는다.

 떡국의 재료도 저마다의 의미가 있다. 하얗고 긴 가래떡은 장수를 기원하며 밝게 보내자는 뜻이 담겼다.

 가래떡을 잘게 자르면 동전 모양과 비슷해 물질적인 풍요를 기원한다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희고 뽀얀 떡과 국물은 음양에서 양을 상징해 춥고 어두워 음기가 강한 겨울에 양기를 보충한다고 해석된다.

 떡국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하다.

 경기도·강원도는 떡만둣국을, 충청도는 말리지 않은 떡을 이용해 생 떡국이나 미역 생 떡국을, 전라도는 닭으로 담근 장을 풀어 끓인 떡국을 즐겨 먹었다.

 경상도는 구운 떡을 사용하거나 굴 떡국을 먹었다고 전해진다. 제주도는 떡국보다 메밀로 칼국수를 만들어 손님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북한은 황해도 개성의 조랭이떡국이 대표적이다. 평안도·함경도는 떡국보다 '복을 싸서 먹는다'는 의미로 만둣국을 먹었다.

 북쪽으로 갈수록 떡국에 만두를 함께 넣어 먹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벼농사를 짓기 어려운 산간 지역에서 떡이 귀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 일본·중국도 새해 '떡국'과 유사 음식 먹어

 우리나라와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떡국과 유사한 새해 음식을 찾아볼 수 있다.

 일본은 새해에 가다랑어포를 우려낸 육수나 미소를 넣은 국에 일본식 떡인 모찌와 각종 재료를 넣은 '오조니'(お雜煮)를 먹는 전통이 있다.

 국물이 맑고 떡의 식감은 인절미와 비슷해 떡국과는 차이가 있지만, 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는 같다.

 중국은 음력설인 춘절에 북쪽과 남쪽이 즐겨 먹는 음식이 다르다.

 북쪽은 만두를 주로 먹고, 남쪽은 쌀로 만든 경단 안에 팥이나 검은깨 등의 소를 넣어 삶은 탕위안을 먹는다.

 이 탕위안이 떡국과 비슷한 측면이 있다. 한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생선요리도 춘절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메뉴다.

 미국은 콩, 양파, 베이컨, 채소, 쌀 등을 넣고 소금이나 향신료와 함께 볶아 밥과 먹는 '호핑 존'이 대표적인 신년 음식이다.

 콩은 동전을, 채소는 지폐를 의미해 새해를 기원해 부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다.

 본래 남부지역 흑인 노예들이 먹던 음식이었으나 남북전쟁 때 미국 전역으로 퍼졌다.

 영국은 크리스마스부터 연초까지 12일간 '민스파이'를 매일 한 개씩 먹으면 새해에 행운이 온다고 믿는 전통이 있다.

 스페인은 한국의 보신각 종이 울리듯 각 도시의 광장에서 울리는 12번의 종소리에 맞춰 '우바스 데 수에르'(행운의 포도)라고 불리는 포도 12알을 먹는 풍습이 있다.

 프랑스의 '갈레트 데 루아', 그리스의 '바실로피타', 멕시코 '로스카 데 레예스' 등은 연초에 행운을 기념하며 먹는 각국의 케이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독성硏, '영원한 화학물질' PFOA가 뇌 염증 일으키는 기제 밝혀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가민한 박사 연구팀은 유해 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이 뇌 신경 염증을 일으키는 기제를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과불화옥탄산은 주방용품, 섬유, 식품 포장재, 소화기 거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PFAS) 계열 물질로,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잔류해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린다. 과불화옥탄산이 신경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으나, 구체적인 작용 원리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PFOA를 뇌 속 별세포(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에 노출하면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소포체는 단백질의 합성과 수송이 이뤄지는 세포 소기관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잘못 접힌 단백질이 쌓여 세포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와 함께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하는 과정) 작용이 발생하며 별세포의 과활성화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은 손상·노후 세포를 분해·재활용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될 경우 오히려 염증 반응을 악화시킬 수 있다. 과불화옥탄산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자가포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별세포의 과활성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해외 시장 직접 공략"…직판 체제 강화하는 제약·바이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파트너사를 거치는 것보다 초기 비용은 더 많이 들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직판이 수익 증대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달 스페인에서 직판 체제를 구축했다. 기존 스페인 유통 파트너사 '컨파마'와 협의를 거쳐 현지법인 주도의 직판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해 말에는 스위스 제약 유통사 '아이콘'을 인수하며 현지 직판에 착수했다. 셀트리온은 2020년 '램시마'를 시작으로 유럽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판으로 전환했다. 2023년에는 미국 시장 판매 구조도 직판 형태로 바꿨다. 이 회사는 최근 분기 보고서에서 직판에 대해 "각 국가 내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다년간 쌓은 시장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태훈 셀트리온 유럽본부장도 최근 셀트리온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럽 법인의 성장 배경으로 '직판을 통한 소통'을 지목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플랫폼을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엑스코프리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