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자살률 2030년까지 악화 전망…10만명당 15.1→16.6명

건강증진개발원 추계 분석…전체 인구 자살사망률은 25.2→22.4명 예상
"성인 암·당뇨·비만 발생 증가할것…2030년 성인 남성 10명 중 6명은 비만"

 우리나라 여성 자살사망률이 2030년까지 계속 악화해 10만명당 15.1명에서 16.6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반대로 인구 전체 자살사망률은 10만명당 25.2명에서 22.4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최근 공개한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4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에는 이 같은 분석 결과가 실렸다.

 개발원은 이 같은 악화세가 계속될 것으로 봤다. 개발원이 최근 다년간의 수치를 바탕으로 선형회귀모형을 활용해 추산한 결과 2030년에는 여성 자살사망률이 16.6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남성 자살률과 전체 인구의 자살률은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남성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은 2018년 38.5명이었고 2022년에는 35.3명으로 줄었다. 2030년 추계치는 28.1명으로 목표치인 27.5명에는 못 미치지만, 점차 낮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도 2018년 26.6명에서 2022년 25.2명으로 감소했다. 2030년 추계치는 이보다 더 낮은 22.4명이다.

 대한민국의 자살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였다.

 개발원이 종합계획의 지표와 유사한 국제 건강지표를 분석한 '국가 간 건강 수준 분석' 결과에서 2021년 기준 대한민국의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은 24.3명으로 36개국 중 1위였으며 2위인 리투아니아(18.5명)와의 격차도 상당했다. 가장 낮은 국가는 그리스로 3.9명이었다.

 개발원은 여성 자살사망률 지표 외에도 성인 암·당뇨·비만 유병률(연령표준화 적용)이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성인(20∼74세) 남성의 인구 10만명당 암 신규 발생자는 2017년 338.0명에서 2030년 353.7명으로 증가하고 성인 여성은 같은 기간 358.5명에서 534.6명으로 늘 것으로 추계됐다.

 30세 이상 남성의 당뇨병 유병률은 2018년 14.2%에서 2030년 16.5%로, 여성은 같은 기간 9.1%에서 9.3%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성인 남성 중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으로 비만인 분율은 2018년에는 42.8%이었지만 2030년에는 59.6%가 될 것으로 추계된다.

 성인 여성의 비만 분율 역시 2018년 25.5%에서 2030년 28.5%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