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운동 빈부격차'…걷기·근력운동 모두 고소득층 더 활발

질병청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소득에 따른 건강격차 확대 우려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와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등 신체활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운동 빈부격차'는 최근 더 확대되는 추세여서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 격차의 확대도 우려된다.

 질병관리청의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은 44.5%였다.

 소득 수준별로 5분위로 나눠 보면 소득 수준이 낮은 '하' 그룹에선 39.1%에 그쳤고, '중하' 44.6%, '중' 43.8%, '중상' 45.3%, '상' 49.2% 등 대체로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 실천율이 높았다.

 2014년 조사에서만 해도 이 격차가 2%포인트(소득 '상' 43.7%, 소득 '하' 41.7%)에 그쳤는데, 가장 최근 조사인 2023년 조사에서 그 5배로 벌어진 것이다.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도 소득별로 차이가 있었다.

 19세 이상 전체 성인에선 52.5%인데 소득 '하' 그룹에선 48.3%, '상' 그룹에선 57.2%로 8.9%포인트 차이가 났다.

소득 수준별 신체활동 실천율. (단위 %, %포인트)

 이 역시 2014년의 3.6%포인트(소득 '상' 55.8%, 소득 '하' 59.4%)에서 격차가 확대됐다.

 특히 남성에서 소득에 따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 차이가 13.3%포인트로 더 크게 벌어졌다.

 최근 일주일간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분율인 '근력활동 실천율'(성인 전체 27.3%)도 소득 '하' 그룹 21.4%, '상' 그룹 32.8%로, 고소득층이 11.4%포인트 더 높았다.

 근력운동 실천율도 2014년엔 고소득층(23.2%)과 저소득층(18.0%)의 차이가 5.2%포인트였는데 최근 더욱 벌어졌다.

 소득 수준에 따른 운동 실천율 격차는 소득에 따른 건강 격차를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최근 대학의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인이 건강수명(기대수명에서 질병·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은 71.82세로, 고소득층(74.88세)이 저소득층(66.22세)보다 8.66년 길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