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 노인 68% '자택서 임종' 희망하지만…70% 병원서 임종

건강보험연구원 실태조사…"연명의료 의향 확인 활성화 필요"

  장기요양 노인의 약 68%는 자택에서의 임종을 희망하지만, 실제로 70%가량은 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장기요양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급여 이용 실태 분석'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연구원은 2023년 한 해 동안 사망한 장기요양 등급 인정자 16만9천943명의 직전 1년간 건강보험·장기요양 급여 자료를 토대로 사망자 특성 등을 분석했다.

 2023년 숨진 장기요양 노인 중 99.6%는 건강보험 급여를, 75.8%는 장기요양 급여를 이용했으며, 평균 급여 비용은 건보 2천500만원가량, 장기요양 1천500만원이었다.

 급여 비용은 사망 월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해 직전 달 가장 높았는데, 사망 전 1년간 급여 비용 중 42.4%가 직전 3개월 내 사용됐다. 사망 전달의 평균 급여비는 408만원이었다.

2023년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장소

 전체의 59.7%인 10만1천471명은 사망 전 한 달간 연명 의료를 받았다.

 유형별로는 혈압 상승제 사용이 48.7%였고 수혈 15.1%,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이 각각 9.6%였다.

 콧줄이나 주사 등 인공적으로 영양을 공급받은 비율은 38.0%였다.

 이 중 혈압 상승제 사용·인공적 영양 공급 건은 각각 전체의 45.0%, 55.6%가 요양병원에서 이뤄졌다.

 사망자의 13.1%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 계획을 작성했는데, 이 중 사망 직전 한 달 내 계획을 작성한 비율이 56.5%였다.

 전체 사망자의 7.6%, 연명의료 중단 계획 수립자의 58.2%가 사망 전 한 달간 연명의료 중단 결정을 이행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체로 연명의료 중단 결정 계획과 이행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기요양 노인 68% '자택서 임종' 희망하지만…70% 병원서 임종 - 3

 연구원은 전체 분석 결과 중 집이 아닌 의료기관에서 사망하는 비율, 사망 직전 연명의료 등 적극적 치료 비율, 낮은 연명의료 중단 결정 비율 등을 근거로 "대상자들은 당사자나 가족의 선호와는 다른 생애 말기 케어와 임종을 맞았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면서 ▲ 장기요양 노인의 연명의료 의향 확인을 위한 제도 활성화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 임종케어 제공 체계 구축 ▲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사각지대 해소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