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찔끔' 반등에도 인구감소 가속…5년새 45만명 내리막

생산연령인구 줄고 부양 부담 증가…'인구 오너스' 현실화

 지난해 출생아 수 '깜짝' 증가 반전에도 불구하고 인구 자연감소세는 계속됐다.

 5년간 45만명 이상 줄어들며 인구절벽이 현실화됐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인구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는 12만명 자연감소했다.

 인구는 2020년 첫 자연감소 후 5년 연속 줄고 있다.

 자연감소 폭은 2020년(-3만3천명)에서 코로나19를 거치며 2021년(-5만7천명) 늘어난 뒤 2022년(-12만4천명)부터 2023년(-12만2천명), 작년까지 3년째 -12만명대를 기록했다.

 이로써 인구는 최근 5년간 45만6천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12월 주민등록 기준 우리나라 인구(5천121만7천명)의 약 0.9%가 사라진 수준이다.

 5년 단위로 살펴보면 인구는 30년 전인 1990∼1994년엔 233만명 자연 증가했다.

 이후 증가 폭은 2000∼2004년(143만6천명) 100만명대로 떨어진 뒤 2010∼2014년 98만4천명으로 둔화했다.

 2015∼2019년 39만6천명까지 쪼그라든 뒤 2020년부터는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출생아 수 감소세도 뚜렷하다.

 최근 5년(2020∼2024년)간 아기는 총 125만명 태어났다.

 지난해 반등에도 5년 단위로 비교하면 역대 최소 수준이다.

 출생아 수는 1990∼1994년 352만7천명에서 2000∼2004년(266만9천명) 200만명대로 내려왔다.

 2005∼2009년 229만8천명으로 줄어든 뒤 2010∼2014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가 이후 감소세가 가팔라져 2015∼2019년 183만2천명, 2020∼2024년 125만명까지 줄었다.

 출생 근간이 되는 결혼 역시 비슷한 흐름이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천건으로 2019년(23만9천건) 이후 가장 많았지만, 최근 5년간 누적으로는 역대 최소 수준으로 집계됐다.

 2020∼2024년 결혼 건수는 101만4천건으로 나타났다.

 직전 5개년(2015∼2019년) 134만6천건보다 33만2천건 줄었다.

 일시적 출산율 반등에도 장기적인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된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고령인구 비율도 함께 상승하면서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부양 인구는 늘어나 경제 성장이 둔화하는 '인구 오너스'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 2022년 5천167만명에서 2030년 5천131만명으로 줄어든 뒤 2072년에는 1977년 수준인 3천622만명까지 축소될 전망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72년에 절반 수준인 47.7%까지 커진다.

 비관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한 저위 추계에서 2072년 인구는 3천17만명까지 줄어든다. 1967년 수준과 비슷하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장기재정전망에서 인구 저위 시나리오에서 국가채무 비율은 중위(173.0%)보다 9.0%p 높은 181.9%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예정처는 "2024년 출산율 반등 현상이 일시에 그치고 저위 시나리오가 실현될 경우 국가채무 비율이 상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소한 중위 수준의 인구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표] 5년 단위 인구동향 (단위: 천명, 천건)

 

시점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증가 건수 혼인 건수
1990~1994 3527 1197 2330 2032
1995~1999 3344 1222 2122 1956
2000~2004 2669 1233 1436 1566
2005~2009 2298 1230 1068 1626
2010~2014 2298 1314 984 1611
2015~2019 1832 1436 396 1346
2020~2024 1250 1706 -456 1014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