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지원 간호사 업무범위 담은 시행규칙 이달 입법예고

기관삽관 등 고난도 업무 포함될 듯…PA 간호사 법적 보호
의협 "의사가 해도 위험도 높아…업무 범위 결정 근거 밝혀야"

 간호법 제정으로 법적 근거가 마련된 진료지원(PA)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담은 간호법 시행규칙이 이달 내 입법예고될 전망이다.

 여기에 기관삽관 등 그간 의사가 시행해온 고난도 업무가 포함될 가능성이 커지자 의사단체는 PA 간호사를 보호하기 위해 환자 안전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냐고 반발하며 업무 범위를 정한 근거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6월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이달 안에 PA 간호사의 구체적 업무 범위를 담은 간호법 시행규칙을 입법예고한다.

 PA 간호사는 임상 현장에서 특수검사나 시술 등 의사의 업무 중 일부를 대신 수행하는 인력이다.

 이들은 의사인력이 부족한 의료기관에서 전공의 대체 인력으로 활용돼 왔지만, 의료법상 별도 규정이 없는 탓이 불안정한 지위에서 사실상 '불법' 업무를 해왔다.

 그러다 작년 2월 의정갈등으로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자 정부는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PA 간호사를 법적으로 보호하는 내용의 시범사업을 실시했고, 이후 간호법 제정으로 이들이 법적 지위를 획득하게 됐다.

 정부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서 일하는 PA 간호사는 1만7천103명이다.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에 이들이 시범사업 기간 수행한 기관삽관이나 요추천자 등 고난도 업무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의사와 PA 간호사의 업무가 겹치는 것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PA 간호사 업무 범위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며 반발했다.

 의협은 "면허 제도에 따라 의료행위의 범위를 정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함"이라며 "정부는 의료현장에서 일하는 직역(PA 간호사)을 보호한다는 이유만으로 환자 안전을 도외시하는 것은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사가 수행해도 위험도가 높은 행위인 기관삽관과 요추천자 등을 PA 간호사가 수행했을 때 나쁜 결과가 발생한다면 그 책임을 과연 PA 간호가 개인이 질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

 또 "각 병원이 PA 간호사 업무 추가를 원할 경우 신설되는 복지부 산하 조정위원회를 통해 신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업무 범위를 무한정 확대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무리한 조항"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PA 간호사 업무 범위를 어떤 논의를 거쳐 정했는지 밝혀달라"며 "환자 안전을 기준으로 적정한 업무 범위를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