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7명 한방의료 경험…근골격계통 치료 목적 최다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비용 수준은 절반가량 '보통' 인식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 가까이가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가장 많은 이용 목적은 허리·등 통증, 디스크, 관절염 등 근골격계통 치료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한국한의약진흥원과 한국갤럽이 지난해 9∼11월 19세 이상 일반 국민 5천160명과 19세 이상 한방의료 이용자 2천1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한방의료 이용 실태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한방의료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 국민은 67.3%로, 직전인 2022년 조사 대비 3.7%포인트 줄었다.

 남성보다 여성이, 고령일수록 이용 경험이 많았다.

 한방의료에 만족한다는 응답률은 79.5%로, 직전 조사 76.6%보다 소폭 상승했다.

 한방의료 이용 목적은 '질환 치료'가 93.9%로 대부분이었다.

 세부적으로 '근골격계통'이 73.9%(복수응답)로 가장 많고 '염좌(삠)·열상 등 손상, 중독 및 외인(낙상사고 등)'(39.6%), '소화계통'(8.7%) 순이었다.

[보건복지부 제공]

 현재 한방의료를 이용 중인 외래·입원환자들도 주된 질환은 '근골격계통'이었다.

 한방의료 비용 수준에 대해선 50% 이상이 '보통'이라고 답했다.

 일반 국민의 37.2%, 외래환자의 21.5%는 '비싸다'고 답했는데 2년 전과 비교하면 일반인은 3.1%포인트 늘었고 외래환자는 9.7%포인트 줄었다.

 주로 첩약, 추나요법, 한약제재 등이 비싸다고 여겼다.

 앞으로 한방의료 이용 의향에 대해선 일반 국민의 75.8%, 이용자 중에선 90% 이상이 '이용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한방의료 개선 사항으로 일반 국민은 '보험급여 적용 확대'(39.0%), '한약재 안전성 확보'(23.7%), '한방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14.1%) 등을 꼽았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제5차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2026∼2030년)을 수립할 계획이다.

 의·한 협진 시범사업도 2분기 중 5단계를 개시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무릎 위 절단 환자, 자연스럽게 걷게하는 생체공학 의족 개발"
무릎 위를 절단한 환자의 근육과 뼈조직에 직접 연결해 사용자가 움직임을 더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기존 의족보다 더 빠르게 걷고 계단을 오르며 장애물도 피할 수 있게 돕는 새로운 생체공학 의족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휴 허(Hugh Herr) 교수팀은 12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무릎 위 절단 부위의 뼈조직과 신경에 연결한 생체공학 의족으로 자연스러운 다리 움직임을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허 교수는 "뼈에 고정되고 자기 신경계로 직접 제어하는 조직통합형 의족은 단순히 생명 없는 분리된 장치가 아니라 인간 생리에 정교하게 통합된 시스템으로 더 높은 수준의 체화감을 준다"며 "이는 단순히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가 아니라 환자 몸의 일부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지난 수년간 절단 후 남은 근육에서 신경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 움직임을 제어하는 새로운 의족을 개발해 왔다. 지난해에는 무릎 아래 절단 환자에게 이를 적용, 기존 의족보다 더 빠르게 걷고 장애물을 더 자연스럽게 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바 있다. 전통적인 절단 수술에서는 보통 번갈아 가며 늘어나고 수축하는 근육 쌍이 절단되는데, 이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