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6일 조간)

▲ 경향신문 = 한덕수의 관세 협상 속도전, 치적 쌓으려 국익 손상 없어야

이제야 12조 내놓은 '최상목 추경안', 초당적으로 증액하라

12조 추경 수정안, 조속히 처리하되 증액도 검토해야

땅 밑이 위험하다… 개발 패러다임 바꿔야 할 때

▲ 동아일보 = 美 "먼저 하면 이득" … 서둘다 '원스톱 쇼핑' 당하는 일 없어야

"韓 대행 경선 불출마" … 그걸 왜 국민의힘이 대신 확인해주나

무늬만 국민 참여…사실상 李 옹립하려는 민주 '들러리 경선'

▲ 서울신문 = 속도 아닌 전략… 대미 무역 협상 냉정하게 국익 잣대로만

12조원 정부 추경안, 과감히 더 늘려 당장 집행해야

"반이재명" "내란 종식"… 경선 주자들, 할 말이 이뿐인가

▲ 세계일보 = 한·미 내주 무역협상 돌입, 경쟁국보다 나은 결과 내야

12조 추경, 4월 국회 처리 위해 초당적 협력을

계엄까지 활용한 北 해킹, 각별한 경각심 필요하다

▲ 아시아투데이 = 범보수·무소속·비명계 뭉칠 '反이재명 빅텐트' 쳐야

韓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이 왜 국회 권한침해인가

▲ 조선일보 = 관세 협상 첫 대상 된 한국, 민주당도 원 팀 돼야

다음 권력 줄서기 바쁜 교수와 공직자들

러 결국 北에 미사일 제공, 그래도 '남의 나라' 일인가

▲ 중앙일보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협상, 신중 또 신중할 필요

이미 늦은 추경, 국회도 협력해 실기하지 말아야

▲ 한겨레 = 세월호 참사 11주기, 우리 사회는 얼마나 안전해졌나

빨라진 관세 협상, 최종 결정은 차기 정부가 내려야

'파면'된 정권의 '내란 알박기 인사', 상식도 염치도 없다

▲ 한국일보 = 한국에 우선 협상 카드 내민 미국… 졸속 경계해야

한 대행만 바라보는 국민의힘 대선 레이스, 정상인가

12조 추경안 국회로… 타이밍·규모 모두 놓치지 말길

▲ 글로벌이코노믹 = 한국의 AI 추격, 속도를 내야 한다

美에 희토류 수출 중단으로 맞선 중국

▲ 대한경제 = 美, 반도체 관세부과 예고… '주52시간제'에 초당적 협력 필요

심화되는 주택시장 양극화… 다주택 규제 개선 시급하다

▲ 디지털타임스 = 韓美 내주 '관세협상' 돌입… 사즉생 각오로 실익 챙겨야

美, '韓 민감국가' 결국 발효… 외교참사 책임, 엄중히 물어야

▲ 매일경제 = 한미 관세협상 내주 시작, FTA틀 활용하는데 주력을

정부 12조원 추경안… 민주, 지역화폐 어깃장 멈춰야

주4일이든 4.5일이든 기업 자율에 맡길 일

▲ 브릿지경제 = 에너지 기관장 거취, 정책 일관성은 또 뒷전인가

▲ 서울경제 = 美 "韓과 우선 협상" … 초당적 대처하되 타결은 차기 정부에 맡겨야

정치권 '정부 12조 추경'에 "돈 더 풀라" 압박 말고 AI 지원 늘려라

"주 4.5일제" "정년 연장" … 선거용 노동 포퓰리즘 경쟁 자제해야

▲ 이데일리 = '주 4일, 4.5일' 놀자 경쟁… 벼랑 끝 경제 안 보나, 못 보나

공공기관과 스타트업 서비스 경쟁, 윈윈 방안 찾아야

▲ 이투데이 = '12조' 추경, 대선 블랙홀 빠지기 전에 서둘러야

▲ 전자신문 = K콘텐츠, 유통·안전핀 함께 만들자

▲ 파이낸셜뉴스 = 국가경쟁력 끌어내리는 포퓰리즘, '주4일제'

나빠진 미국 상황, 이젠 협상 서두를 것 없어

▲ 한국경제 = 구멍 뚫린 비자 심사, 민원인엔 갑질 … 세금 아까운 재외공관

정부 12兆 추경안 확정, 국회 처리 더 미뤄선 안 된다

국힘 '용적률 상향' 공약 … 집값 자극 않도록 신중히 추진해야

▲ 경북신문 = 대통령 5년 단임제 감옥 '덫'… 다음은 누굴까?

▲ 경북일보 = 경북 동해안 유네스코 지질공원…꿰어야 보배

▲ 대경일보 = 불량 외국인의 조롱거리가 된 국내 치안

아름다운 기부와 실천에 희망을 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