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전공의 리베이트 의혹' 3개 제약사·의사 등 기소

의사·제약사 직원 등 9명 약식 기소…병원 운영 학교법인은 기소유예

 일부 대학병원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와 직원, 의사 등을 재판에 넘겼다.

 서울북부지검은 최근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를 약사법 위반 혐의로 각각 벌금 300만원에 구약식 처분(약식 기소)했다.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는 벌금 100만원에 약식 기소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 의사 등 종업원 6명은 의료법위반, 배임수재 등 혐의로 벌금 100만~200만원의 구약식 처분을 받았다.

 검찰은 당초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을 수사했지만 군 수사를 거쳐 1명이 추가됨으로써 수사 대상이 9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D학원은 의료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 처분됐다.

 검찰은 2019년 2월 26일경부터 2023년 7월 27일경까지 D학원 종업원들이 의약품 공급자로부터  각 49만6천570원 내지 256만8천53원 상당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받아 의료법위반 피의사실은 인정된다고 봤다.

 하지만 D학원이 양벌규정에 따른 형사책임을 지는 사안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받은 의사들을 기소하고 그 이익을 추징하는 점, D학원 병원장 및 행정책임자가 재발 방지를 다짐하면서 서약서를 제출한 점 등 참작할 사유가 있다고 기소유예 이유를 설명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D학원이 운영하는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검찰은 노원경찰서에 보완 수사를 요구한 뒤 지난 3월 중순 재송치받았다.

 이에 대해 A사가 "해당 의료기관에 공급 중인 품목은 필수 의약품인 혈액제제로, 높은 시장 수요에 비해 공급처는 소수에 불과해 리베이트 동인이 없다. 조사 중인 사안은 약사법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해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된 것"이라고 밝히는 등 일부 제약사는 리베이트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한편 이 건을 내부 고발한 D학원 대학병원의 E교수는 최근 경찰에 D학원 이사장과 병원 관계자 등 8명을 공익신고자보호법과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분만취약지 지원에도 산부인과 의사 감소…돈만으론 해결 안돼"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분만취약지 내 의료기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 산부인과 의사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지역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한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장원모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하고, 시설·장비비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60분 내 분만 의료 이용률이 30% 미만이거나, 60분 내 분만할 수 있는 의료기관에 접근 불가능한 인구 비율이 30% 이상인 곳 등이 분만취약지로 지정된다. 연구에 따르면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정책이 시행된 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도리어 3.39명 줄었다. 전일제로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0.083명 늘었으나, 시간제 근무 전문의 수가 3.47명 감소하면서 증가분을 상쇄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시행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