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벌레 공생 천연 곰팡이 없이도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만든다

KAIST 한순규 교수 연구팀, 세계 최초 '화학적 합성' 성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화학과 한순규 교수 연구팀이 콩 벌레와 공생하는 곰팡이에서 발견된 천연 항신경염증 물질인 '허포트리콘(herpotrichone) A, B, C'를 세계 최초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허포트리콘은 뇌 속 염증을 억제하고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뛰어나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받는다.

 콩 벌레 공생 곰팡이인 '허포트리시아(Herpotrichia) sp. SF09'에서만 극미량으로 얻을 수 있는데, 화학 합성에 성공해 차세대 신경 퇴행성 질환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마치 두 개의 퍼즐 조각이 맞물려 하나의 고리를 만들듯, 탄소 기반 파트너끼리 새로운 결합을 만들어 육각 고리 구조를 형성하게 해주는 반응이다.

 분자 사이의 약한 끌어당김 현상인 '수소결합'을 섬세하게 설계하고 조절, 반응이 원하는 방향과 위치에서만 일어나도록 정교하게 유도해 허포트리콘을 만들었다.

 한순규 교수는 "퇴행성 신경질환 약리 활성을 갖는 자연계 희귀 천연물을 최초로 합성하고, 복잡한 천연물의 생체모방 합성 원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며 "앞으로 천연물 기반 항신경염증 치료제 개발과 해당 천연물군의 생합성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이유진 학생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JACS)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인체 70퍼센트는 물'에 담긴 속뜻
요즘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물을 찾아 마신다. 이처럼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물이다. 물은 우리 몸의 7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사람은 일주일 동안 밥을 먹지 않아도 살 수 있지만 물을 마시지 않으면 죽는다. 왜냐하면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 물이 필요하고, 특히 대사활동의 결과로 생기는 노폐물 배설을 위해서는 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우리 혈액에 쌓인 노폐물은 신장에서 걸러진다. 신장에서 걸러진 노폐물은 오줌이라는 형태의 물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오줌을 통해 물이 배설되는 만큼 다시 물을 보충해야 한다. 기타 대변이나 피부를 통해 나가는 수분도 보충해줘야 한다. 물은 음식물이나 식수를 통해서 공급할 수 있는데, 이론상으로는 몸에서 빠져나간 양만큼만 채워주면 되지만 좀 더 원활한 수분대사와 노폐물 배설을 위해서는 그보다는 많이 마시는 게 좋다. 많은 사람은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사실 의학적으로 보면 배출하는 양만큼만 물을 마시면 충분하다. 그런데 많은 전문가가 물을 무조건 많이 마시라고 하고, 심지어는 의사 중에도 그렇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다. 예컨대 하루에 1.2리터에서 2리터 정도의 물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