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1천만 시대'…73.4세까지 일하기 희망

고령층 절반만 연금 받아…'생활비'가 근로 희망 주된 사유

  55세부터 79세까지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

 고령층 약 70%는 계속 일하고자 했으며 생활비가 주된 이유였다. 이들은 평균 73.4세까지 일하기를 원했다.

 고령층 절반만 연금을 받고 있고, 그나마도 금액이 월 평균 약 86만원으로 최소 생활비에 턱 없이 못 미쳤다.

 ◇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고용률 '역대 최고'

 고령인구가 늘어나며 이들의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고령층(55∼79세) 인구는 1천644만7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6만4천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36.0%를 차지한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천1만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8천명 늘어나며 200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 1천만명대를 진입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4만4천명 증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작년보다 각각 0.3%포인트(p), 0.5%p 상승했다.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산업별로 고령층 취업자는 주로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 많았다.

 직업별 비율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에서 높고 관리자(2.1%), 사무 종사자(8.3%)에서는 낮았다.

 대부분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는 계속 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고령층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지금도 근무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0.1%, 그만둔 사람의 비율은 69.9%로 나타났다.

 그만 둘 때 나이는 평균 52.9세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 부진ㆍ조업 중단ㆍ휴업·폐업(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22.4%), 가족을 돌보기 위해(14.7%) 순으로 높았다.

 ◇ 연금 수령액 월 86만원…10명 중 7명 "근로 희망"

 고령층의 연금 수령액은 월 100만원에 못 미치고, 노동시장에는 더 머물기를 원하는 추세다.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는 850만2천명으로 고령층의 51.7%를 차지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6만원에 그쳤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작년 12월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 136만1천원의 63%에 불과한 수준이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계속 일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해석이 나온다.

 고령층 중 가운데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1천142만1천명으로 전체의 69.4%를 차지한다.

 10명 중 7명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이다.

 근로 희망 비율은 역대 최고치였던 작년과 같았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의 근로 희망 연령은 평균 73.4세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1세 상승하며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았다.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이 54.4%로 1위를 기록했다.

 일하는 즐거움(36.1%)이 뒤를 이었으며 무료해서(4.0%), 사회가 필요로 함(3.1%), 건강 유지(2.3%) 등 사유도 있다.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수준은 300만원 이상(21.5%), 200만∼250만원 미만(19.4%) 순으로 많다. 300만원 이상 구간이 작년보다 2.2%p 커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년 6개월만에 돌아온 의대생, 첫 수업은 '설렘반, 걱정반'
"어젯밤 병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떨려서 잠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병원 내 글로컬임상실증센터. 최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휴학했던 의대생이 속속 학업에 복귀하는 가운데 이날 부산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복귀 이후 첫 임상 실습 수업이 열렸다. 하얀 의사 가운을 입고 목에 청진기를 맨 학생 3명은 다소 어색한 표정으로 담당 교수와 함께 수업에 들어갔다. 부산대 의대 본과생들은 3∼4명씩 조를 나눠 지도교수의 감독 아래 외래, 병동, 수술실 등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수술실을 재현한 실습실에서 본과 3학년 송모(26)씨가 기도 삽관에 도전했다. 송씨가 환자 모형의 기도를 확보한 뒤 동기에게서 튜브를 건네받아 기관 안에 삽입했다. 이어 그럴듯한 모습이 완성되자 학생들이 기관 내 삽입한 튜브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해 여러 차례 눌렀다. 시술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풀어야 할 폐 모형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를 본 부산대 의대 부학장인 이정규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 경우 기도삽관이 잘못된 것이죠"라고 설명했다. 학생이 머쓱한 표정을 짓자 이 교수는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며 "다만 응급 환자에게는 바로 적용해야 하는 시술이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