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육아휴직급여 男 4만명 첫 돌파…공공기관 女관리자 25%

여가부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경단女, 15.9% 10년전보다 5.8%p↓

 지난해 육아휴직급여를 받은 남성이 처음으로 4만명을 넘어섰다.

 여성가족부의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13만3천명이었다.

 이중 남성은 4만2천명(31.6%)으로 처음 4만명을 돌파했다.

 사업장 규모로 보면 남녀 모두 300인 이상 사업장 종사자가 가장 많았다.

 여성 관리자 비율도 10년 전에 비해 향상됐다.

 지난해 4급 이상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26.3%로, 2015년(12.1%) 대비 14.2%포인트(p) 증가했다.

 일반직 지방공무원 중 5급 이상 여성 비율은 34.6%로 2015년(11.6%)보다 23.0%p 상승했다.

 지난해 여성 관리자 비율은 22.5%였다. 2015년(19.4%) 대비 3.1%p 올랐다.

 특히 공공기관의 여성  관리자 비율이 25.4%로 10년 전(15.9%)보다 9.5%p 뛰어올랐다.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2.1%, 남성은 76.8%였다.

 2015년 대비 각 6.4%p, 0.9%p 상승했다. 이중 30대 초반 여성 고용률은 73.5%로 같은 기간 13.9%p 뛰어올랐다.

 기혼 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15.9%였다.

 2015년(21.7%)보다 5.8%p 하락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804만5천 가구였다. 일반 가구의 36.1%를 차지했다.

 2015년(520만3천 가구) 대비 1.5배 증가했다. 남성 1인 가구는 30대(21.8%), 여성은 60대(18.7%)가 가장 많았다.

 2025년 전체 인구 약 5천168만5천명 중 50대 이상 인구는 2천333만1천명으로 2015년 대비 남성은 35.2%, 여성은 32.2% 증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