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껌 씹기 [내이버이미지 갈무리]](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598040252_03d51a.jpg?iqs=0.22225988126666196)
껌 씹기 운동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하면 구강 근력을 높일 수 있어 음식물 삼킴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선대에 따르면 이 대학 작업치료학과 최종배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의 병행이 고령층의 삼킴 능력과 구강 건강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내용의 새로운 재활 치료법을 제시했다.
고령층은 근육량 감소로 씹는 힘과 침 분비 기능이 저하되는 '근감소성 삼킴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을 결합한 재활치료법'을 개발하고,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껌 씹기 운동만 시행한 그룹과 저작근(씹는 근육)에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을 비교했다.
4주간의 연구 결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씹는 힘, 저작근 두께, 구강 점막의 수분도가 모두 증가했다.
단순 껌 씹기 운동만 실시한 그룹보다 개선 효과가 확연히 높았으며, 연구팀은 전기자극이 근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해 저작근 강화와 침샘 기능을 촉진한 결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전문 의료시설이 아닌 지역 복지시설이나 가정에서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고령층 맞춤형 구강재활 모델로 활용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조선대는 지역사회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작업치료 임상 교육 현장에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해, 실질적인 고령층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최 교수는 "노인 스스로 구강 건강을 관리하고 식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영양 불균형과 질환 악화를 예방하고 돌봄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연구 성과는 세계적 구강재활학 분야 권위지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9월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