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룸, 봄 인테리어 시즌 맞아 리빙 신제품 선보여

침실, 다이닝, 거실, 드레스룸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리빙 시리즈 제안
리빙 신제품을 배경으로 한 ‘일룸 5초 드라마’ 누적 영상 조회수 80만 돌파

(미디어온) 퍼시스그룹의 생활가구 전문 브랜드 일룸이 봄 인테리어 시즌을 맞이해 리빙 신제품을 선보였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포근한 봄 날씨가 찾아오면서 이사, 혼수 등 새롭게 집 단장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일룸은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다양한 신제품 어바니 침실 시리즈, 구스토 다이닝 시리즈, 베르겐 소파, 테일러 드레스룸 시리즈를 선보였다.

일룸 ‘어바니’는 부부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배려한 침실 시리즈로 고급스럽고 클래식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어바니 시리즈의 트윈 모션베드는 독립적인 플랫폼을 갖춘 싱글 침대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등판과 다리판 각도 조절이 가능해 몸이 편안한 각도에 맞춰 수면은 물론 독서, 영화 감상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침대의 파티션을 활용해 수면 공간과 그 외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프트업 테이블, 행거 등의 옵션 액세서리를 활용하면 실용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침실 공간을 완성할 수 있다.

일룸 ‘구스토’는 다이닝 공간과 거실을 함께 꾸밀 수 있는 다이닝 시리즈다. 구스토 시리즈의 1900폭의 대리석 식탁은 집들이, 홈파티 등 여러명이 함께 즐기기 넉넉한 사이즈다. 와인장과 카페장을 활용하면 홈 바나 홈 카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장식품을 올려두고 다양한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 팬트리장 등으로 다이닝과 거실 공간을 하나의 무드로 꾸밀 수 있다.

일룸 ‘베르겐 소파’는 작은 공간부터 넓은 공간까지, 다양한 모듈 구성이 가능한 모듈형 소파이다. 소파 하부에 연결 브라켓을 이용해 사용자가 손쉽게 분리, 조립할 수 있어 언제든 형태 변경이 가능하다. 가족 구성원 중 좌식 생활이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바닥에 앉아 기대서 사용하기 편안하도록 설계했다.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도 인상적이다. 베르겐의 외곽을 잡아주는 높고 감싸는듯한 등판은 앉았을 때 몸의 곡선에 맞춰 자연스럽게 감싸주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일룸은 체계적인 수납모듈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드레스룸 시리즈 ‘테일러’를 새롭게 선보였다. 독립형 바디 구조로 결혼, 출산, 이사 등 라이프 사이클에 맞춰 모듈을 추가하거나 간편하게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룸은 이번 출시를 기념해 리빙 신제품을 배경으로 한 배우 공유 화보를 공개했다. 특히 신혼 부부의 공감 요소를 자극하는 일룸 5초 드라마는 현재까지 약 80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네티즌들로부터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일룸은 올해 선보인 리빙 신제품은 부부와 가족 생활 패턴에 맞춰 다양한 사용성을 고려했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하여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룸의 리빙 신제품은 일룸 프리미엄샵, 전국 대리점, 일룸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