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중앙의료원, 디지털 역량 강화 비전 선포

'CM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비전 선포식' 개최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CMC)은 30일 서울성모병원 대강당에서 'CM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CMC Digital Transformation) 비전선포식'을 열고, 2025년까지 산하 8개 병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CMC는 '공동선을 실현하는 미래헬스케어 혁신의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목표 아래 의료 빅데이터 허브 구축 등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현재 CMC는 산하 8개 병원(서울성모병원·여의도성모병원·의정부성모병원·부천성모병원·은평성모병원·인천성모병원·성빈센트병원·대전성모병원)에서 확보한 1천500만명의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갖고 있다. 이를 토대로 2018년 8월 가톨릭빅데이터통합센터를 신설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앞으로 CMC는 타 병원과 원활한 데이터 교류를 위한 공통데이터 모델을 정립해 진료 연계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음성을 인식하는 의무기록 시스템, 디지털 병리 및 청진,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데이터 기반 병원감염관리 모델 등도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산하 병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등을 진행해 디지털 전환을 완수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어패류 섭취·바닷물 접촉 주의"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발생해 방역당국이 고위험군 등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0대 A씨가 지난 1일부터 설사, 복통, 소화불량, 다리 부종 등으로 충남 소재 병원에 입원해 치료받다가 10일 비브리오패혈증 진단을 받았다. A씨는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인 간 질환자라고 질병청은 전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패혈균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으로, 제3급 법정 감염병이다. 비브리오패혈균은 주로 해수, 갯벌, 어패류 등에 서식하며, 해수 온도가 1도 이상일 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닿아 인체에 감염된다. 사람 간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선 통상 매년 5∼6월께 첫 환자가 나와 8∼9월에 많이 발생한다. 지난해엔 49명이 감염돼 21명이 숨지는 등 매년 두 자릿수의 감염자와 사망자가 나온다.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리면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 시작 후 24시간 이내에 다리 쪽에 발진, 부종, 출혈성 물집 등이 생긴다. 만성 간 질환,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