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시·군별 마을버스 요금, 23일부터 200∼300원 인상

 경기지역 시·군의 마을버스 요금이 오는 23일부터 200∼300원씩 인상된다.

1일 경기도와 성남시 등에 따르면 마을버스를 운영 중인 도내 21개 시·군이 23일 첫차부터 일제히 인상된 요금을 적용한다.

마을버스 요금은 시·군별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장·군수가 각각 결정하며 요금 인상은 2015년 6월 이후 4년 5개월만이다.

시·군별로 현재 현금 기준 1천100∼1천200원을 받고 있는데 23일부터는 1천300∼1천400원으로 오른다.

성남시의 경우 시내구간(1천100원)과 시외구간(1천200원)으로 이원화된 마을버스 요금구조를 일원화하고 1천400원으로 200∼300원 인상한다.

수원시는 1천200원에서 1천400원으로, 안양시는 1천100원에서 1천300원으로 200원씩 올려받는다.

성남시 관계자는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에 따른 버스 기사 확충 문제와 4년여간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해 마을버스 요금 인상 폭을 정했다"고 말했다.

도내에는 21개 시·군에서 682개 노선에 2천457대의 마을버스를 운영 중이며 하루 평균 이용객은 116만여명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