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강풍 부는 쌀쌀한 출근길…전국 곳곳에 눈·비

 

'우산 챙기세요'
'우산 챙기세요'[연합뉴스 자료사진]

 월요일인 25일 전국에 가끔 구름이 많고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 지역 등 곳곳에 비나 눈이 오겠다.

 경기 동부와 강원 영서, 충북 북동부 지역은 아침에, 경북 내륙과 경남 동해안은 낮 동안 비 또는 눈이 내리겠으며 제주는 밤부터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이 20∼60mm, 경기 동부·강원 영서·충북 북동부·경북 내륙·경남 동해안은 5㎜ 미만이다. 또 경북 동해안과 경북 북동부 산지, 제주도는 26일 새벽까지 5∼30mm의 비가 내릴 전망이다.

 강원 산지에는 5∼30㎝, 강원 북부 동해안과 경북 북동부 산지는 1∼5㎝, 강원 남부 동해안에는 1㎝ 안팎의 눈이 쌓일 것으로 보인다.

 

 아침 최저기온은 -5∼8도(평년 -3.4∼6.3도), 낮 최고기온은 6∼13도(평년 8.3∼15.4도)로 예보됐다.

25일 아침 중부지방은 영하권에 들고 바람도 강해 체감온도가 낮고 춥겠으니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눈이 오는 강원 산지에서는 도로가 얼어 미끄러운 곳이 생길 수 있어 교통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또 강풍으로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이용객은 사전에 운항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동해안에서는 너울로 물결이 높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는 곳도 있겠으니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29일까지 남해안과 서해안은 천문조로 바닷물 높이가 높은 기간이므로 만조 시 해안가 저지대는 침수피해에 주의해야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는 2.0∼5.0m, 서해·남해 앞바다는 1.0∼4.0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 2.0∼6.0m, 서해 1.0∼4.0m, 남해 1.0∼4.0m로 예보됐다.

 다음은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구름많음, 구름많음] (-2∼7) <20, 20>

▲ 인천 : [구름많음, 구름많음] (-2∼6) <20, 20>

▲ 수원 : [구름많음, 구름많음] (-2∼7) <20, 20>

▲ 춘천 : [흐리고 한때 비/눈, 구름많음] (1∼8) <60, 20>

▲ 강릉 : [흐리고 비/눈, 흐리고 비/눈] (6∼8) <80, 80>

▲ 청주 : [구름많음, 구름많음] (-1∼6) <20, 20>

▲ 대전 : [구름많음, 구름많음] (0∼7) <20, 20>

▲ 세종 : [구름많음, 구름많음] (-2∼7) <20, 20>

▲ 전주 : [구름많음, 구름많음] (2∼6) <20, 20>

▲ 광주 : [구름많음, 구름많음] (-3∼7) <20, 20>

▲ 대구 : [구름많음, 흐림] (4∼10) <20, 30>

▲ 부산 : [흐림, 흐림] (8∼13) <30, 30>

▲ 울산 : [구름많고 한때 비, 흐리고 한때 비] (8∼11) <60, 60>

▲ 창원 : [구름많음, 구름많음] (6∼12) <20, 20>

▲ 제주 : [구름많음, 흐림] (9∼11) <20, 3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