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 활용 초급성 뇌졸중 환자 '치료 길잡이' 개발

쓰리케이비카스·춘천성심병원, 출혈성 변화 예측 알고리즘 개발 나서

 초급성기 뇌졸중 환자 치료의 시작인 뇌 컴퓨터단층촬영(CT)을 판독해 출혈성 변환을 실시간으로 예측·진단하는 자동분류 영상 알고리즘이 개발된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개발 전문그룹인 쓰리케이소프트와 수행 전문기업인 쓰리케이비카스는 최근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신경과 김철호 교수팀과 공동연구 계약을 맺었다.

 초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혈전용해 치료 이후 출혈성 변환을 예측할 수 있는 뇌전산화단층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연구다.

 쉽게 말해 전문 의료진이 하던 일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골든타임' 내 빠른 치료 결정에 이용하려는 연구다.

 한국인 단일사망원인 중 뇌졸중은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고령화도 가장 빨라 2030년에는 연간 뇌졸중 환자가 35만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심사평가원 보고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허혈성 뇌졸중은 연간 7.18%씩 늘었고, 출혈성 뇌졸중은 연간 발생률이 1.82%씩 줄었다.

  초급성기 뇌졸중 치료에서 정맥 혈전용해제 투여는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재관류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뇌졸중 이후 재관류 손상은 뇌졸중 증상 발생에서 치료까지 시간이 지연되면 될수록 뇌 손상 발생위험이 커져 뇌졸중 치료는 골든타임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

 그러나 초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치료 과정에서 출혈성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는 15∼20%이기 때문에 출혈성 변환과 관련 합병증을 줄이는 게 매우 중요하다.

 치료의 시작은 뇌 CT를 촬영해 신경학적 증상이 뇌출혈에 기인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뇌 CT를 활용해 상태를 진단하고 혈전용해 치료 시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소견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쓰리케이비카스가 보유한 데이터 처리기술과 성심병원 의료진이 가진 노하우를 함축한 최적의 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쓰리케이비카스 관계자는 19일 "이번 연구를 통해 초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내원 즉시 시행된 뇌 CT를 판독해 출혈성 변환을 실시간으로 예측·진단하는 자동분류 영상 알고리즘을 개발한다면 골든타임 내 신속한 결정과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뇌졸중 환자 치료용 알고리즘 개발 공동연구 계약[쓰리케이비카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