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균 증식 정탐, 면역체계에 신호 보내는 '스파이 수용체' 발견"

막스 플랑크 연구소, 저널 '사이언스'에 논문

 박테리아 같은 병원체가 몸 안에 침투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병이 생기는 건 아니다. 모든 병원체는 병을 일으킬 만큼 무수히 증식해야 비로소 위험해진다.

 독일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 과학자들이 박테리아의 증식 활동을 정탐하는 일종의 '스파이 수용체'를 발견했다. 이 수용체는 박테리아 사이에 오가는 정보를 엿듣고 있다가 너무 많이 증식했다 싶으면 면역체계에 위험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면역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인 막스 플랑크 감염 생물학 연구소(MPIIB)의 스테판 카우프만 교수가 주도했고, 관련 논문은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실렸다.

 막스플랑크협회(MAX-PLANCK-GESELLSCHAFT)가 지난 20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박테리아가 교환하는 정보를 인체 세포가 엿들을 수 있는 건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aryl hydrocarbon receptor)' 덕분이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페드로 모우라-알베스 박사는 "이 수용체의 정탐 덕에 인체는 병원균의 공격을 퇴치할 적기에 면역체계를 가동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옥스퍼드대의 루트비히 암 연구소에서 연구 그룹 리더를 맡고 있다.

 이 수용체는 세균이 서로 정보를 교환할 때 분비하는 '쿼럼 감지 분자(quorum sensing molecules)'라는 저분자 물질을 탐지해, 병원체의 공격 시기를 알아낸다.

 이 수용체는 또한 '쿼럼 감지 분자'가 나오는 초기부터 병원체의 활동을 염탐해 면역계의 너무 이른 가동을 막기도 한다.

 카우프만 교수는 "작은 수의 박테리아를 따로 남겨 놓는 게 숙주 입장에선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라면서 "에너지는 병원균 수가 위험 수위에 도달해 방어체계를 가동해야 할 때 써야 한다"라고 말했다.

 인체에 침입한 세균은 충분히 증식했을 때 '발병 인자(virulence factors)'라는 물질을 분비해 우리 몸을 질병 상태로 유도한다.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병을 일으키는 '기회 감염성 병원체(opportunistic pathogens)'는 이 단계까지 가기가 어렵다. 아주 많은 수로 증식해야 비로소 '발병 인자'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세균 중 하나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수도관, 세면기 등 생활 환경에 많이 서식해 누구나 쉽게 감염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녹농균은 먼저 '발병 인자'를 만들어 숙주 안에 공격 기반을 확보한다.

 이런 식으로 입원 환자 등에 폐렴, 상처 감염, 균혈증(bacteraemia),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녹농균은 항생제 내성이 유난히 강해 치료가 어렵다.

 녹농균도 '쿼럼 감지 분자'를 분비해, 동종 세균의 밀도가 높아졌다고 확인되면 '발병 인자'와 '점액질 분자'를 생성하기도 한다. 이 점액질 분자는 항생제나 면역체계로부터 세균을 보호한다.

 녹농균 같은 세균의 이런 정보 교환은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막아 준다는 점에서도 이롭다.

 동종 세균이 충분히 증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병 인자나 점액질 분자를 생성하면 쓸데없는 에너지 낭비가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