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채소에 많은 항산화 물질 '플라보놀', 치매 위험↓"

 과일과 채소에 특히 많이 들어있는 항산화 물질 플라보놀(flavonol)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러시(Rush) 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토머스 홀랜드 박사 연구팀이 치매 증상이 없는 노인 921명(평균연령 81세)을 대상으로 6년에 걸쳐 진행한 추적 조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로이터 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연구 기간에 이 중 220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연구팀은 매년 이들이 어떤 음식을 얼마나 자주 먹는지에 관한 설문조사와 함께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하면서 어떤 음식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켐페롤(케일, 콩, 홍차, 시금치, 브로콜리) ▲케르세틴(토마토, 케일, 사과, 홍차) ▲미리세틴(오렌지, 포도주, 케일, 토마토) ▲이소람네틴(배, 올리브유, 포도주, 토마토소스) 등 4가지 플라보놀의 개인별 평균 섭취량을 산출했다.

 하루 플라보놀 섭취량 최상위(15.3mg) 그룹은 치매 발생률이 15.3%로 최하위(5.3mg) 그룹의 54%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심혈관질환 병력, 고혈압 등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위험요인들을 고려했지만, 이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

 전체적으로 플라보놀 섭취량 최상위 그룹은 최하위 그룹에 비해 치매 발생률이 48% 낮았다.

 플라보놀을 종류별로 보면 켐페롤 섭취량 최상위 그룹은 치매 발생률이 51%, 이소람네틴 또는 미리세틴 섭취량 최상위 그룹은 38% 낮았다.

 그러나 케르세틴 섭취량은 치매 위험 감소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플라보놀은 노란색을 나타내는 식물성 색소를 총칭하는 플라보노이드의 하나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1월 29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