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아냈다"

생쥐 뇌 해마에서 관련 뉴런 그룹 발견…뉴런 활성 동기화 관찰
미 뉴햄프셔대 연구진, '미국실험생물학회지'에 논문

  옛 소련의 심리학자 이안 파블로프는 개를 이용한 조건반사 실험으로 유명하다.

 개한테 먹이를 줄 때마다 반복적으로 종을 울리면, 나중엔 먹이 없이 종소리만 들려줘도 개가 침을 흘린다는 걸 입증했다. 이른바 '고전적 조건화' 이론이다.

 파블로프의 조건반사가 뇌에서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이뤄지는지를 영국 과학자들이 동물 실험에서 밝혀냈다.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와 비슷한 현상은, 외국어 어휘 공부 등 다양한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 연구를 수행한 미국 뉴햄프셔 대의 천 쉬안 마오 신경생물학 조교수팀은 관련 논문을 미국실험생물학회지(FASEB Journal)에 발표했다.

 6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장기기억 형성에 핵심적 기능을 하는 생쥐의 해마(hippocampus)를 면밀히 관찰해, 파블로프의 조건반사에 관여하는 작은 뉴런(신경세포) 그룹이 있다는 걸 확인했다. 이들 뉴런은 조건반사로 기억이 형성되는 동안 동기화된 활성 패턴을 보였다.

 천 교수는 "해마에는 수천만 개의 뉴런이 있지만 이런 학습 과정에 관련된 것은 아주 작은 부분"이라면서 "파블로프식 조건을 주기 전에 이들 뉴런은 혼란스러워 보일 만큼 높은 활성도를 보이기도 했지만 거의 협응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반복적인 학습 훈련을 시작하면 뉴런의 활성도에 변화가 생겼다. 종소리 같은 조건 자극을 반복적으로 가하자 생쥐는 그 패턴을 인지하기 시작했고, 뇌의 뉴런도 고도로 활성화하면서 동기화(synchronization) 현상을 보였다.

 이런 활성 뉴런의 동기화가 없으면 생쥐는 조건반사 형태의 기억을 형성하거나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한다.

 천 교수는 "기억이 형성되는 동안에는, 서로 무관한 두 개의 사건을 연결하는 신경 회로가 뇌에 생기듯이 뉴런들이 하나처럼 움직이는 패턴을 보였다"라고 설명했다.

 고전적 조건 형성이 어떻게 뇌의 신경 연결을 형성하는지 기초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기억력 저하와 관련이 있는 치매, 자폐 스펙트럼 증후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의 치료법 개발이 빨라질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