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지난해 암 1천900건 조기발견…연 검진 100만시대 열어

 

 (서울=휴먼메디저널) 김종식 기자 = 종합건강검진기관인 KMI한국의학연구소(이사장 김순이)가 지난해 1천900건의 암을 조기 발견, 국민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KMI는 2019년 103만9천474명의 검강 검진을 실시해 2만8천237명이 암 또는 다른 질환이 의심돼 종합병원에 의뢰했고, 이 가운데 1천900명이 암으로 최종 확진됐다고 9일 밝혔다.

 종류별로보면 감상선암이 623명(32.8%)로 가장 많고, 위암 381명(20.1%), 대장직장암 296명(15.6%), 유방암 180명(9.5%) 등 순이다.…

 특히 한국인에서 사망률이 높은 폐암(74명) 등도 다수 진단되어 건강검진의 중요성을 일깨워줬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979명 가운데 갑상선암이 280명(28.6%)으로 가장 많고, 위암 266명(27.2%), 대장직장암 192명(19.6%), 폐암 49명(5.0%), 신장암 45명(4.6%), 간암 34명(3.5%), 전립선암 28명(2.9%) 등 순이다.

 또 여성(921명)은 갑상선암 343명(37.2%), 유방암 180명(19.5%), 위암 115명(12.5%), 직장대장암 104명(11.3%), 자궁경부암 82명(8.9%), 폐암 25명(2.7%), 신장암 18명(2.0%) 등 순으로 조사됐다.

 암 진단 인원 가운데 20~30대도 471명으로 나타나, 젊은층에서도 종합검진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현재 국민건강보험의 암 검진 중 20~30대에 적용되는 것은 여성의 자경경부암 검진 뿐이다.

 그동안 KMI를 통해 암이 진단된 인원을 보면 ▲2010년 1천396명 ▲2011년 1천351명 ▲2012년 1천596명 ▲2013년 1천994명 ▲2014년 1천568명 ▲2015년 1천360명 ▲2016년 1천600명 ▲2017년 1천478명 ▲2018년 1천629명으로, 2019년은 전년 대비 16.6%(271명) 증가했다.

 1985년 설립된 KMI는 전국 7개 지역에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종합건강검진기관으로, 2019년 ‘연 검진인원 100만명 시대’를 열었다.

 KMI 안지현 교육연구부장(내과 전문의, 대한검진의학회 총무이사)은 “암의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과음 등 생활습관이 안 좋을수록 종합검진이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