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 대장·위 등 소화기관 암 위험 20~30%↓"

  아스피린 복용이 소화 시스템에 관여하는 장기에서 발생하는 암 위험 감소와 연관이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밀라노대학 의대의 크리스티나 보세티 암 역학 실장 연구팀은 아스피린의 규칙적 복용이 식도에서 위, 위 분문(噴門: 식도와 위의 접합부), 간, 담낭, 담도, 췌장에 이르기까지 소화에 관여하는 장기에서 발생하는 암 위험 감소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16일 보도했다.

 2019년 이전에 발표된 관련 연구논문 113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아스피린을 일주일에 최소한 1~2회 이상 복용하는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대장암 발생률이 27%, 식도암 33%, 위분문암 39%, 위암 36%, 간-담도암 38%, 췌장암은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용하는 용량이 높을수록 암 위험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75~100mg은 10%, 325mg은 35%, 500mg은 50%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고용량 복용을 다룬 연구논문은 몇 편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아스피린의 용량 선택에는 복용 단위가 올라갈수록 부작용인 위장 출혈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또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사람이 불규칙하게 복용하는 사람보다, 그리고 복용 기간이 긴 사람일수록 암 위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칙적 복용자는 불규칙 복용자보다 1년 복용 후 암 위험이 4%, 3년 복용 후 11%, 5년 복용 후 19%, 10년 복용 후 29%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난치성 암인 췌장암의 경우 아스피린을 5년 복용했을 때 규칙적 복용자가 불규칙 복용자보다 발생률이 25% 낮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 결과이기 때문에 아스피린과 암 위험 감소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증거는 될 수 없고 다만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편향(bias)이나 교란 요인(confounding factor)들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아스피린 복용은 개개인의 암 위험, 가족력, 성별, 연령 등을 의사와 상의해 결정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종양내과학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학술지 '종양학 회보'(Annals of Oncology) 최신호(4월 16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건보 피부양자, 내국인은 15% 줄었지만 외국인은 19만명대 유지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 중 내국인은 15% 가까이 감소했으나 외국인은 19만여명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외국인 피부양자의 경우 소득·재산 심사를 하기 어려워서 '건강보험 무임승차'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실제 외국인 건강보험 재정수지는 흑자를 이어가는 중인 데다가 외국인 인력의 필요성을 고려했을 때 무임승차 등 부작용을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실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직장 가입자의 배우자나 자녀 등 피부양자는 2020년 말 19만5천423명에서 지난해 말 19만5천201명으로 소폭 줄긴 했으나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국민건강보험법에서는 사업장 근로 여부, 체류자격, 체류 기간 등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외국인에게 건강보험 수급 자격을 주고, 배우자 등은 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해 피부양자가 될 수 있게 한다. 반면 내국인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는 저출생·고령화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1천840만5천명에서 1천568만7천명으로 14.8% 감소했다.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는 그 자격을 얻기 위해 일정 소득·재산 요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