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우뭇가사리 철' 제주 해녀 물 만났다

제주해녀 1년 소득의 절반을 차지…전국 생산량의 90%가 제주산
한천 등 음식 재료뿐 아니라 해양 미생물 배양에도 사용

 이맘때가 되면 제주지역 해안도로 곳곳에서 검붉은 색 해초를 말리는 장면을 쉽게 볼 수 있다.

 납작한 실 모양으로 깃털처럼 가지를 많이 내 다발을 이룬 해초가 바닥에 널려있는 모습은 초 여름철 제주 해안도로를 가봤다면 누구나 한 번쯤 보았을 풍경이다.

 그렇다면 이 해초는 무엇일까.

 이 시기 햇볕을 쐬고, 바닷바람을 맞으며 바짝 말라가는 해초는 십중팔구 제철을 맞은 '우뭇가사리'다.

 ◇ 제주해녀 1년 소득의 절반 차지…효자노릇 '톡톡'

 우뭇가사리는 여름철 임금도 즐겨 먹던 음식 가운데 하나인 한천의 원료로 쓰이는 해초다.

 제주지역 연도별 우뭇가사리 채취량은 2016년 735t, 2017년 2천421t, 2018년 1천23t, 2019년 586t 등이다.

 우뭇가사리 등 해조류의 경우 2∼3년 간격으로 해 갈이를 해 연도별로 물량이 크게 늘었다 줄었다 하지만 제주는 매해 전국 우뭇가사리 생산량 중 90% 이상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우뭇가사리는 대부분 일본과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특히 제주의 동쪽 바다에서 생산되는 우뭇가사리는 한천 생산량과 소비량 1위를 차지하는 일본에서도 인정하는 1등급 품질을 자랑한다.

 우뭇가사리를 빵빵하게 담은 한 망사리는 20∼30만원을 호가해 제주 해녀에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뭇가사리가 제철을 맞은 4∼6월은 제주 해녀가 가장 바쁠 때 중 하나다.

 각 어촌계는 이 시기 일정한 기간을 정해놓고 우뭇가사리를 채취한다.

 우뭇가사리 채취는 공동작업과 개인 작업으로 나뉜다.

 공동작업을 하는 날은 각 어촌계 소속 해녀가 다 같이 모여 우뭇가사리를 채취해 말린 뒤 출하한다.

 제주 해녀가 1년 소득의 절반가량을 우뭇가사리로 버는 만큼, 개인 작업을 할 때는 채취 경쟁이 치열해진다.

 밭은 경계가 있지만, 바다는 그렇지 않아 먼저 채취하는 사람이 임자다.

 제주에서는 우뭇가사리 작업으로 신경이 곤두선 해녀의 비위를 거스르지 말라는 뜻으로, '봄 잠녀(해녀)는 건들지 말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우뭇가사리 철이 돌아오면 해녀는 온 가족을 대동해 바다로 나간다.

 바다로 나간 해녀는 조간대 하부부터 조하대 수심 5m까지 분포한 우뭇가사리를 손으로 뜯어 빈 망사리에 담는다.

 해녀가 우뭇가사리를 채취해 망사리에 가득 채워 뭍으로 끌고 오면 집안 남자는 경운기나 트럭을 대동하고 있다가 무거워진 망사리를 싣고 가 집 마당이나 공터에 널어놓는다.

 또 이 시기 제사가 있으면 물질로 바쁜 집안 여자들 대신 남자들이 도맡아 음식을 만들고 상을 차린다.

 ◇ '우뭇가사리의 변신'…음식 재료부터 미생물 배양까지

 우뭇가사리는 무침을 하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 등 그 자체로도 훌륭한 음식 재료지만 주로 가공해 섭취한다.

 우뭇가사리를 끓인 후 식혀 굳힌 한천이 그것이다.

 한천은 제주에서는 '우미, 다른 지역에서는 '우무', '우무묵' 등으로 불린다.

  우뭇가사리를 끓이면 우뭇가사리를 구성하는 우무질이 빠져나와 죽처럼 걸쭉해진다. 이를 체 등에 걸러서 햇볕과 바람에 굳히면 한천이 된다.

 한천이 된 우뭇가사리는 본래 갖고 있던 검붉은색을 완전히 벗고 묵처럼 불투명해진다. 탱글탱글한 식감으로 양갱이나 젤리 등을 만들때 사용된다.

 우뭇가사리로 만든 한천은 포만감을 주면서 칼로리는 낮고 식이섬유는 풍부해 인기를 얻고 있다.

 한천은 냉채와 무침 등 다양한 음식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한천은 여름철 임금도 즐겨 먹던 음식 중 하나다.

 세종실록지에 따르면 '우무'는 여름철 임금님께 진상하던 남해안 특산물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제주에서는 냉수에 간장과 식초로 간을 맞춘 냉국에 한천을 넣어 먹어 여름철 입맛을 잡기도 한다.

 고소한 미숫가루에 버무린 한천 또한 별미다.

 우뭇가사리는 음식 재료 외에 해양 미생물을 배양하는 데도 이용돼 부가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치매 치료제 등 의약품, 화장품, 활성탄 대체재 등 다양한 산업 소재로 활용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여당發 의대신설 지지에 의료계 반발…여야의정協 참여 중단할까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민의힘이 경상북도 국립의대 신설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반쪽짜리'로 가동되던 여야의정 협의체가 위기에 처했다. 협의체에 참여 중인 일부 의료계 단체가 거취를 고민하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에서도 이들에게 탈퇴를 공개적으로 촉구하고 나섰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정갈등 해소를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가 가동되는 와중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대 신설을 지지한다는 발언을 내놓은 데 대한 의료계 내부의 불만이 확산하고 있다.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도 협의체 논의에 뚜렷한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여당 대표가 의대 신설마저 언급하자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이들은 2025년 의대 모집인원 축소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자율성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세 차례 전체 회의에서 뚜렷한 성과가 나오진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대 학장은 "협의하는 도중에 한동훈 대표가 경북 국립의대 신설을 얘기하는 게 맞는 일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의대 학장들 사이에서도 협의체에서는 정원 조정을 얘기하는데 밖에서는 신설을 언급하면 진지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역량 갖춘 바이오 인재 절실…기업·대학 협업해 양성해야"
우리나라에서 첨단 바이오 분야 인재를 양성하려면 기업과 교육 기관이 협력해 경력 개발 프로그램, 인턴십 등을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까지 요구되는 바이오 분야 특성상 기업 등 단일 행위자의 노력만으로는 인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2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이달 발행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인력양성 및 확보 전략' 보고서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보고서는 우선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 발전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한계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했다. 올해 네이처 인덱스의 연구 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리, 화학에서 각각 6위, 7위를 기록했으나 바이오 관련 분야인 생물은 14위에 그쳤다. 네이처 인덱스는 글로벌 출판 그룹 네이처가 주요 자연과학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와 작성 기여도, 학문 분야별 가중치 등을 산출해 수치로 변환한 지표다. 네이처는 한국의 논문 성과와 연구개발(R&D) 지출을 비교하면 다른 국가와 비교해 '투자 대비 성과'가 부족하다고도 평가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바이오와 디지털 2개 분야를 접목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에 적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