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진쑥 이용 '통풍 치료법' 세계 첫 개발

우석대 양갑식 교수팀 "베타카로틴 성분이 통풍 유발물질 형성 방해"
학술지 '네이처 류머티즘 리뷰' 게재

 우석대 양갑식 한의예과 교수 연구팀은 인진쑥 성분으로 통풍(痛風)을 치료하는 메커니즘을 찾아냈다고 27일 밝혔다.

 양 교수 연구팀은 인진쑥에 많이 들어있는 베타카로틴 성분이 부종 완화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자극하는 신호물질)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베타카로틴은 통풍을 유발하는 염증 조절복합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연결고리인 ASC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복합체 생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특히 광범위한 염증만을 억제하는 기존 소염진통제 한계를 넘어 근본적 통풍 치료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통풍 치료의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 연구 결과는 최근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류머티즘 리뷰'에 게재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통풍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표현으로 묘사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통증 수치를 0∼10 범위로 봤을 때 출산이 '8'이라면 통풍은 '9'에 해당한다는 의학계 견해도 있다.

 통풍은 고기나 생선 등에 많이 들어 있는 퓨린의 대사산물인 '요산'이 관절 주위의 연부조직에 침투하면서 발가락이나 발목, 다리 등에 염증성 통증을 일으킨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통풍 환자는 39만5천154명에 달하지만, 현재 치료제는 일시적 통증 완화에 그치고 있어 근본적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양갑식 교수는 "베타카로틴의 경구 투여가 통풍 유발물질인 요산 결정을 인지하는 NLRP3 염증조절복합체의 형성 자체를 방해해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광범위한 염증을 치유하는 기존 치료제를 넘어서 6년여의 오랜 연구 끝에 한약 성분으로 통풍을 치료할 수 있는 직접적 원인물질의 작용 메커니즘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가 통풍 치료를 위한 신규 약물 발굴 및 최적의 치료제 도출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지방 식단, 비만뿐 아니라 불안·인지장애 위험도 높여"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유발된 비만이 뇌 신호와 장내 미생물군에 변화를 일으켜 불안증과 인지장애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데지리 원더스 교수팀은 2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영양학회(ASN) 학술대회(NUTRITION 2025)에서 생쥐에게 15주 동안 고지방 먹이와 저지방 먹이를 먹이며 변화를 관찰한 실험에서 고지방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증 및 인지장애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 증상, 뇌신호 변화, 뇌기능 손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 변화 등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며 이는 비만과 불안증이 장과 뇌의 상호작용으로 연결돼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원더스 교수는 "여러 연구가 비만과 불안의 연관성을 시사해 왔지만 비만이 불안을 직접 유발하는지 또는 그 연관성이 (비만에 대한) 사회적 압박의 영향인지 등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비만이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뇌 건강에 미지는 잠재적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비만과 인지 기능 및 불안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