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부위 상처 통증 '전기자극치료'로 회복기간 단축"

 수술 부위 상처로 인한 통증에 전기자극치료를 하면 회복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간담췌외과 박준성·김형선 교수, 재활의학과 박진영 교수 연구팀은 췌장십이지장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의 근육에 전기자극치료를 시행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근육 내 전기자극치료(NETOIMS, needle electrical twitch obtaining intramuscular stimulation)는 환자의 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해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식으로 통증을 경감하는 치료행위를 칭한다. 근육 긴장 등 근육통 환자에 주로 쓰였다. 개복 수술 후 통증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연구팀은 대상 환자 44명 중 실험군 21명에게 수술 후 전기자극치료를 한 후 나머지 대조군 23명과 비교했다.

 그 결과 수술 당일과 수술 후 3일째 평균 통증 점수(VAS)가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통증 점수는 낮을수록 통증이 없는 상태다.

 약간의 통증이 있으나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는 통증 점수(2점)대로 회복하는 기간 역시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환자가 더 짧았다.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환자는 이러한 상태가 되기까지 12.4일, 그렇지 않은 환자는 15.0일이 걸렸다.

 수술 후 28일까지 조사해보니 실험군은 입원 기간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대조군보다 통증 점수가 낮았다.

 전기자극 치료는 수술 후 신체기능을 회복하는 기간도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은 수술 이전과 같은 속도로 걷기까지 약 20.7일이 걸렸지만 대조군은 평균 보행속도 회복까지 29.0일이 걸렸다.

 연구 결과는 미국외과의사협회 학술지(JAC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진료지원은 전문영역…자격화하고 협회가 교육 맡아야"
대한간호협회(간협)는 19일 "정부가 추진 중인 진료지원 간호사 업무에 관한 규칙은 간호사의 전문성과 현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며 "교육·자격 체계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간협은 이날 서울 중구 협회 서울연수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6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마련 중인 '진료지원 업무 수행 규칙안'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진료지원 인력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별도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간호사와, 그간 임상 현장에서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로 불리며 의사 업무 일부를 대신 수행한 인력을 말한다. 진료지원 업무는 의료법상 별도 규정이 없는 탓에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됐으나 간호법 시행으로 법적 보호를 받게 됐다. 간협은 나아가 협회가 진료지원 업무 교육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간협은 "정부는 진료지원업무 교육을 의료기관 등에 맡기려고 한다"며 "이는 의사 부족을 이유로 간호사에게 업무를 떠넘긴 현실을 방치한 채 교육마저 현장에 전가하려는 제도적 착취"라고 주장했다. 이어 "간협은 간호연수교육원을 통해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보수교육기관 평가와 자격시험 관리 등의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신생아의 빠르게 뛰는 심장박동까지 재현할 수 있는 심혈관 모사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윤석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모사한 소프트 심장 밸브와 고정밀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인체의 혈압과 맥압 변화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심혈관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기존 기계식 밸브나 유압 펌프 방식의 심혈관 시뮬레이터는 부피가 크고 정밀 제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신생아나 소아의 빠른 심박수와 고강도 운동 중 발생하는 부정맥 등 병리적 상태까지 구현하기 위해서는 응답 속도와 정밀도가 높은 밸브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사람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본뜬 소프트 자성 밸브와 자성 심장판막을 핵심기술로 하는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3개의 판막엽으로 구성된 심장 대동맥 판막은 수축·이완기 심장 박동에 따라 혈액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데, 이 3엽 구조를 닮은 자성 심장판막과 소프트 자성 밸브가 외부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마치 대동맥 판막처럼 자연스레 열리고 닫히게 된다. 유연성과 복원력이 우수

메디칼산업

더보기